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중국 방역 조치 강화에 ‘No한국’ 운동 확산…관련 업계 비상

▷정부의 입국 조치 강화에…中, 한국 불매 나서
▷中 큰손 기대했지만 방역 조치 강화로 한숨만

입력 : 2023.01.05 11:30 수정 : 2023.01.05 11:42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정부가 중국 입국자에 대해 코로나19 방역을 강화하면서 온라인을 중심으로 중국 누리꾼들 사이에 한국 불매에 대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와 SNS 등에서 한국 방역 정책에 대한 중국인들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변이는 전세계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는데, 중국인의 입국만을 규제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이유입니다.

 

앞서 한국 정부는 지난 2일부터 중국발 입국자들에 한해 입국 전후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하고 음성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입국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중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것을 고려해 다음 달 말까지 외교공무, 필수적 기업, 인도적 사유 등을 제외한 단기 비자 발급을 제한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중국판 트위터라 불리는 웨이보에서는 사지도, 가지도 않겠다며 이른바 ‘NO한국운동이 번지고 있습니다. 중국 누리꾼들은 한국의 방역 정책에 대해 어차피 한국에 가지 않는다, 한국에 가지 않아도 죽지 않는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지난 4일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에 대한 방역 조치 강화에 대해 중국발 입국 규제는 시간과 자원 낭비이며, 위선적 이중잣대라는 비판을 쏟아내기도 했습니다.

 

중국의 한국 불매 움직임이 커지자 국내 관광업계는 일제히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던 중국이 지난달 7 위드 코로나로 정책을 전환한 후 한국해 항공편 예약과 검색량이 폭증했습니다.

 

글로벌 온라인 트래블 에이전시 트립닷컴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중국 정부의 입국 제한 완화 발표 이후 한국행 항공편 검색은 하루 전인 26일 대비 2.5배 늘었고, 항공평 예약은 무려 5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여행사들은 올해 3월 중국인 관광객(유커) 유치 상품을 본격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정부의 조치와 ‘NO한국운동까지 겹쳐지면서 상품 기획을 다시 해야 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한 여행사 관계자는 중국 전담 여행사의 업무 재개와 국내 가이드 복귀 등 준비가 필요한데 더 늦어질 것 같아 걱정이라면서도 다만 중국 정부가 해외여행을 원칙적으로 혀용해 개별 관광객이 다소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습니다.

 

No한국 움직임으로 인한 여파는 여행사뿐만 아니라 다른 업계로도 퍼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해외 하늘길이 막히면서 문을 닫았던 제주지역 외국인 전용 카지노가 일제히 문을 다시 열었지만 중국발 악재로 사실상 개점휴업에 들어갔습니다. , 중국 하늘길 재개를 노리고 중국행 항공편 증편 계획을 세워둔 항공업체들은 일제히 증편을 미루고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코로나19로 3년간 닫혀있던 중국과 교류가 '위드 코로나'로 재개될 것으로 보였지만 여전히 제자리 걸음이라면서 중국 하늘길 회복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에 반한 정서까지 조성돼 업체에 피해가 미칠까 걱정된다고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가 방역 규정을 강화했을 때 혼란을 완화해줄 대비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