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흉흉한 한반도 정세... 尹, "일전 불사의 결기로 적의 도발 응징"

▷ 시간이 지날수록 날 세우는 尹 정부와 北
▷ 국방예산 증액, 방위력 개선비 ↑

입력 : 2023.01.03 14:00 수정 : 2023.01.03 15:24
흉흉한 한반도 정세... 尹, "일전 불사의 결기로 적의 도발 응징" (출처=제20대 대통령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북한이 무인기를 보내 우리나라 영공을 침범하고 2023년 새해를 맞자마자 동해 상으로 미사일을 쏘는 등, 한반도의 안보 상황은 날이 갈수록 엄중해지고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핵탄두 보유량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겠다, “(핵 무장의) 2의 사명은 방어가 아닌 다른 것이라고 말하며 적대국과의 무력충돌이 현실화될 시 전술핵 공격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드러냈습니다.

 

이를 두고, 윤석열 대통령은 우리 군은 일전을 불사한다는 결기로 적의 어떤 도발도 확실하게 응징해야 한다며 강경하게 맞섰고, 국방부 역시 북한이 만일 핵사용을 기도한다면 김정은 정권은 종말에 처하게 될 것이라며 경고했습니다.

 

# 어려운 경제 여건에도 국방예산은 ↑

 

 

(출처 = 국방부)

 

 

북한에 대한 尹 정부의 날카로운 태도는 오는 2023년도 국방예산에서 드러나는 듯합니다.

 

2023년도 국방예산은 전년 대비 4.4% 증가한 57143억 원으로, 전체적으로 정부 지출을 감축하는 과정에서 국방부 예산은 오히려 올랐습니다.

 

정부 총지출 증가율은 8.9%에서 20235.1%로 대폭 감축된 반면, 국방예산 증가율은 3.4%에서 4.4%로 확대되었습니다. 정부가 허리띠를 졸라매는 상황 속에서도 국방예산만큼은 지출을 늘린 셈으로, 한반도 안보의 엄중함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부와 국회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부터 우리나라를 보호해야 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선정했습니다.

 

군사력 건설을 위한 방위력 개선비를 지난해 대비 1.3% 증액한 169,169억 원으로 확정했는데, 장거리함대대공유도탄(SM-6), F-X 2, 철매 - 2차 성능개량 등 6개 신규사업에 654억 원을 투입합니다.

 

F-X 2차: 공군에 차세대 전투기를 도입하는 사업

장거리함대대공유도탄: 이지스 구축함(KDX-Ⅲ)에 탑재되어 적의 탄도미사일을 최후단계에서도 요격할 수 있는 미사일

 

북한의 핵/미사일 관련 시설이나 핵심표적에 대한 타격능력을 대폭 향상시키고,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게끔 대응능력을 강화하는 사업들입니다. 다만, 130mm유도로켓-Ⅱ, 대형기동헬기-Ⅱ, 근거리정찰드론 등의 방위력 사업들은 예산이 감액되었습니다.


이를 두고 국방부는 사업 진행 상황을 고려하여 연부액을 일부 조정한 것이며 2023년 정상적인 사업추진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군사력 운영을 위한 전력운영비 역시 방위력 개선비와 마찬가지로 2022년 대비 5.7% 증가했습니다.

 

40974억 원으로, ‘지역상생 장병특식’, ‘모듈러형 간부숙소등 장병들의 복부여건 개선을 위한 사업에 주로 사용되었는데요.

 

이외에도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8사단 궤도차량정비고/고가초소/경계울타리 신축 등의 사업 예산이 증액되었습니다.

 

 

(출처 = 국방부)

 

 

# 미국과의 공동 핵 연습?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탄두의 대량 생산을 지시하고, 남한 전역을 사정권으로 두고 있는 초대형방사포에 핵탄두 탑재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등 위협에 대해 윤 대통령은 미국과의 합동 핵 훈련을 거론했습니다.

 

지난 30, 윤 대통령은 조선일보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미가 미국의 핵전력을 공동 기획(Joint Planning) – 공동 연습(Joint Exercise)’ 개념으로 운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핵무기는 미국의 것이지만 정보 공유와 계획, 훈련을 한-미가 공동으로 해야 한다, 미국도 상당히 긍정적인 입장이라고 덧붙였는데요.

 

그런데 미국 현지시각으로 지난 2, 바이든 대통령이 지금 한국과 공동 핵 연습을 논의 중이냐는 질문에 아니다(No)’라고 대답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어떤 공동 핵 연습을 염두로 두고 이러한 대답을 한지에 대해선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윤 대통령의 인터뷰와는 다른 취지의 답변이 나온 셈입니다.

 

이에 대해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3오늘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은 로이터 기자가 거두절미하고 핵전쟁 연습을 (논의)하고 있는지물으니 당연히 ‘No’(아니다)라고 답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Joint nuclear exercise(핵 전쟁 연습)은 핵 보유국들 사이에 가능한 용어라고 설명했습니다.

 

, 핵 전쟁 연습은 미국 같은 핵보유국끼리만 할 수 있는 것이지, 핵을 보유하지 못한 한국에겐 애초에 성립할 수 없는 군사 훈련이란 이야기입니다.

 

그러면서 김 수석은 한미 양국은 북핵 대응을 위해 미국 보유 핵 전력 자산의 운용에 관한 정보의 공유, 공동 기획, 이에 따른 공동 실행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