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라] 미사일에 무인기까지, 북한 도발은 尹 정부 탓?
북한은 2022년의 마지막 날을 미사일로 마무리했습니다.
지난해 12월 31일 오전 8시, 북한은 이동식발사대를 통해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을 동해로 3발 발사했는데요.
2023년 계묘년 새해를 맞자마자 북한은 또 탄도미사일을 동해 상으로 쐈습니다. 이로써 2022년에 북한이 감행한 미사일 도발만 38차례, 2023년 1월 1일에 1차례로 그 위협의 수위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탄도미사일 뿐만 아니라, 최근 북한의 무인기가 우리나라 영공을 침범해 수도권까지 진입하면서 큰 문제가 된 바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26일 낮, 폭탄이나 생화학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북한의 무인기 5대가 다섯시간 동안 우리나라 영공을 누볐습니다.
국방부는
이 북한의 무인기들을 끝내 격추하지 못했고, 이는 여론은 물론 대통령으로부터 실망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방부 참모들에게 “훈련도 제대로 하지 않느냐”며 크게 질책했다고 하는데요.
북한의 도발과 관련, 윤 대통령이 직접 “도발에는 반드시 혹독한 대가가 따른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야한다”, “평화를 얻기 위해서는 압도적으로 우월한 전쟁 준비를 해야 한다”, 고 언급할 정도로, 남북간의 긴장은 고조되고 있는 양상입니다.
이를 두고, 국민의힘은 “확고한 응징과 보복만이 북한의 고삐 풀린 도발을 억제할
수 있다”며 대통령 발언에 힘을 실었고, 더불어민주당은 북한의
도발 규탄하는 한편, “’눈에는 눈, 이에는 이’식 강경 대응만 앞세워선 안 될 것”이라며 정부 태도에 비판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유독 수위가 높아진 북한의 무력 도발에 대해 여야 양측은 그 원인으로 ‘전/현 정부’를 거론했습니다. 국민의힘 측은 지난 정권이었던 문재인 정부가 북한 문제에 대해 안일하게 대처하다가 화를 키웠다고 비판했습니다.
우리 국민 서해 피격 사건 등 문 정부는 북한에게 단호한 태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오히려 밑을 져 안보에 구멍이 뚫렸다는 이야기입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측은 현 윤 정부의 강경한 태도가 북한의 무력 도발을 부추기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1일, “전쟁이나 안보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이야기는 정말 신중해야 한다”면서, “말 폭탄이 전쟁 발발에 원인이 된 경우가 많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북한 도발에 아주 강경하게 맞서야 한다는 윤 대통령의 발언이 전쟁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셈입니다.
연일 끊이지 않는 북한의 무력 도발, 尹 정부의 강경한 대응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나요?
찬성: 북한의 무력 도발은 尹 정부 탓이다
반대: 북한의 무력 도발은 尹 정부가 아니라 이전 정권인 文 정부 탓이다
중립: 북한의 무력 도발은 그 누구의 탓도 아니다 등 기타 의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