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美, 대만에게 1.8억 달러 무기 수출 승인... 긴장 고조

▷ 지난 9월 각종 미사일에 이어 대전차지뢰까지... 미국 대만에 적극적 무기 수출
▷ 대만 현역병 복무기간 늘어나는 등 국방력 다듬어

입력 : 2022.12.29 17:00 수정 : 2024.06.03 17:10
[외신] 美, 대만에게 1.8억 달러 무기 수출 승인... 긴장 고조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최근 중국이 대만 주변에 군용기를 띄워 무력시위를 하는 등 긴장이 높아지자 미국이 재차 나섰습니다.

 

CNN에 따르면, 지난 28일 미국 국무부는 대만에 18천만 달러의 무기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에 미국이 대만에 수출한 무기는 대전차용 지뢰 살포장치 볼케이노’(Volcano Anti-Tank systems)로 알려졌는데요.

 

볼케이노는 한 대당 960개의 지뢰를 탑재하고 있으며, 살포가 빨라 상륙군의 진입을 막는데 효과적인 무기입니다.

 

사실상 미국이 중국의 대만 상륙을 무기 수출을 통해 견제한 셈으로, 미 국무부는 이번 무기 수출이 대만의 안보를 개선하고, 정치적 안정과 군사적 균형 및 경제 발전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고 전했습니다.

 

미국 국무부 曰 이번 (미국의 무기) 수출은 군대를 현대화하고 견고한 방어 능력을 유지하려는 대만의 지속적인 노력을 도움으로써 미국의 국가 경제 및 안보에 기여한다”(This proposed sale serves U.S. national, economic, and security interests by supporting the recipient’s continuing efforts to modernize its armed forces and to maintain a credible defensive capability”)


미국이 대만에게 무기를 수출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지난 여름, 미국의 3인자라 할 수 있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대만을 방문하자 중국은 군사적 압박 수위를 높였습니다.


이 때 미국은 중국에게 경고장을 날리며 대만에게 11억 달러 이상의 무기를 수출하겠다고 전했는데요. 최대 60기의 대함(anti-ship) 미사일과 100개의 대공(air to air) 미사일이 포함된 이 수출안은 바이든 집권 이래 가장 큰 규모를 갖고 있습니다.

 

미국은 동아시아 정세에서 대만을 상당히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듯합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3, 대만이 중국의 침략에 대항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국방법에 서명했습니다.


이 국방수권법안(DNAA)에는 내년부터 미국이 대만에게 100억 달러를 매년 최대 20억 달러씩 5년간 빌려준다는 내용이 담겨있는데요.


중국의 침략을 막기 위해선 대만 군대의 방어능력을 현실화해야 하니, 무기를 살 수 있도록 미국이 대만에게 돈을 융자해주겠다는 이야기입니다.


대만이 미국산 무기로 무장하는 셈인데요. 여기에 최근 대만은 현역병의 의무복무기간을 4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하고, 예비군 소집 훈련에 여군 제대자도 불러들이는 등 국방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당연히 이를 달가워할 리 없습니다. 중국은 군용기 71대를 띄워 대만 주변에서 무력 시위를 진행하면서, 이것은 미국과 대만의 결탁 및 도발 격상에 대한 단호한 대응이라고 전했습니다.

 

CNN은 미국과 대만의 무기 거래가 긴장 상태를 고조시킬 것이라 우려했으며, 영국은 남중국해에서 무력 분쟁이 발생할 시 그 후폭풍이 어마어마할 것이라 경고했습니다.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면 서방의 무거운 제제가 중국을 덮칠 터인데, 문제는 중국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의 중요한 무역국가라는 점입니다.


중국이 수출을 단절할 경우 우리나라의 경제적 피해는 불가피합니다. 반도체 생산의 핵심 국가인 대만도 마찬가지입니다. 전쟁으로 인해 대만의 반도체 생산과 수출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다면 영국을 비롯한 주요 수입국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CNN 이번 조치(미국의 대만 무기 수출)는 대만을 자신들의 일부로 보고 있는 중국의 분노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다”(“the move is likely to provoke anger from Beijing, which views Taiwan as part of China”)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