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국민 10명 중 3.5명이 땅주인

▷ 국민 10명 중 3.5명, 토지 소유자
▷ 개인 소유 토지 대부분은 임야나 농경지
▷ 60대 이상 토지 소유율 UP, 50대 이한느 DOWN

입력 : 2022.07.04 16:00 수정 : 2022.09.02 15:14
 

 

#불로소득의 꿈, 부동산

 

‘부동산’, 최근 몇 년 간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는 단어입니다.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다, 어느 지역의 아파트가격이 폭등했다는 등, 부동산은 거의 매일 같이 미디어에서 언급되고 있죠.

 

부동산을영혼까지 끌어 모아서 샀다영끌족’, 주위에 공원을 갖춘 부동산을 일컫는숲세권, 부동산 열풍은 신조어도 많이 만들어냈습니다.

 

이러한 부동산의 인기는 앞으로도 전혀 잦아들 것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에서 땅을 소유한 인구는 지난해보다 2.5% 증가한 1,851만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무려 전체 인구(5,164만 명) 35.8%에 달하는 비율입니다. 10명 중 3.5명은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셈이죠.

 

개인 토지 소유자의 수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4년 만에 100만 명이 늘었습니다. 2018년엔 1,732만 명, 2021년엔 1,851만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국토교통부)

 


흥미로운 건, 개인의 토지소유 면적은 소유자의 수와 달리 소폭 감소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2018년엔 46,755㎢였지만, 2021년엔 대략 300㎢ 감소한 46,445㎢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인 토지 소유자 수가 증가하는 반면, 토지 면적이 소폭 감소했다는 건 땅을쪼개서구매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세대역시 약 4년 만에 100만 명이 증가했습니다. 2018 1,351만 세대에서 2021 1,448만 명으로 늘었죠.

 

한편, 법인이 갖고 있는 토지 면적은 7,087, 비법인은 7,783㎢이라고 합니다.

 

#누가, 어떤 땅을 많이 가지고 있을까?

 

국토교통부 조사에 따르면, 개인 토지 소유자들이 갖고 있는 땅 대부분은 임야라고 합니다.

 

개인 토지 면적 46,445㎢ 중, 임야가 26,813㎢으로 57.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론 과수원, 목장, 등 농경지가 16,077(34.6%), 대지가 2,549(5.5%) 순입니다.

 

토지거래 회전율은 전국 2.6%, 세종(5.1%), 경기(5.0%) 충남(3.8%) 등의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서울은 1.0%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회전율을 보였습니다.

 

숲과 들판, 농경지를 개인 토지 소유자들이 많이 갖고 있다는 뜻은 토지 거래가 대부분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서 이루어진다는 걸 뜻합니다.

 

서울 내에 자리한 대부분의 토지는 개발이 완료되어 임야 같은 토지가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토지를 많이 소유하고 있는 연령대는 60대입니다.

 

60대가 전체에서 29.6%, 50대가 22.7%, 70대가 19.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흥미로운 건, 60대와 80대 이상의 토지 소유 비율은 증가하는 반면, 50대 이하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개인 토지 소유자가 갖고 있는 땅 대부분이 '임야' '농경지'라는 점을 고려해보면, 50대 이하 연령층은 건물이 들어서지 않은토지에 많은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는 셈입니다.

 

그 원인은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의 근본적인 특징으로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수도권 주변의 토지는 값이 상대적으로 비쌉니다. 토지 주변에 각종 인프라가 갖추어지지 않은 지방의 경우투자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낮다는 점이 50대 이하 연령층의 비교적 낮은 토지 소유율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