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넉 달 만에 최대 상승…재건축·역세권 단지 주도
▷9월 4주 아파트값 0.03%↑…서울 0.19%
▷세종 전셋값 0.28% 급등, 전국 매매·전세 동반 상승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그래픽=한국부동산원)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서울 아파트값이 재건축 기대감과 역세권 대단지 수요에 힘입어 넉 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수도권 전반으로 매수세가 확산되는 가운데, 지방은 대구·제주 약세와 전북·세종 강세가 엇갈리며 지역별 온도차가 두드러졌다. 전세시장 역시 매물 부족이 이어지며 수도권과 세종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키우고 있다.
◇수도권 상승세 뚜렷…서울·분당 강세, 외곽은 약세
한국부동산원이 25일 발표한 ‘9월 4주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3% 상승했다. 특히 서울은 0.19% 올라 지난주(0.12%)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성동구(0.59%)와 마포구(0.43%), 광진구(0.35%) 등 강북권, 송파구(0.35%)와 강동구(0.31%), 양천구(0.28%) 등 강남권 모두 오름세를 보였다. 성남 분당구(0.64%)와 광명(0.24%), 과천(0.23%)도 강세를 나타내 수도권 전체 상승률은 0.07%로 확대됐다. 반면 평택(-0.16%), 여주(-0.13%) 등 외곽 지역은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지방은 전체적으로 0.01% 떨어졌다. 대구(-0.06%)와 제주(-0.05%)는 하락세가 이어진 반면, 전북은 0.08% 오르며 8개 도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세종은 0.05% 올라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전주(0.10%)보다 폭은 줄었다.
◇전세도 오름세…세종·서울·부산이 견인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0.04% 상승했다. 서울은 0.09% 올라 송파(0.26%)와 서초(0.25%), 강동(0.16%) 등 강남권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경기(0.05%)와 인천(0.04%)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세종은 0.28% 급등하며 전국 전세시장을 주도했다. 고운·다정동 대단지에서 임차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부산(0.06%)과 울산(0.07%)도 상승했으나, 제주(-0.05%), 강원(-0.03%), 전남(-0.02%)은 약세를 보였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