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문체부·국어원, 일상 속 외국어 40개 이해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문체부·국어원, 국민 참여와 국어심의회 거쳐 외국어 40개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소버린 에이아이'는 '독자 인공 지능', '그린 테크'는 '친환경 기술'로 대체

입력 : 2025.08.28 10:00 수정 : 2025.08.28 10:24
문체부·국어원, 일상 속 외국어 40개 이해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문체부와 국어원이 공개한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해야 할 외국어(사진=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국어원과 함께 일상에서 자주 쓰이지만 다소 낯선 외국어 40개를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다듬었다고 28일 밝혔다.

 

문체부와 국어원에 따르면 최근 정부 등 공공기관과 언론에서의 과도한 외국어 사용으로 국민과의 소통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문체부와 국어원은 언론계, 학계, 청년(대학생) 등이 참여하는 '새말모임'을 운영해 공공성이 높거나 국민 생활과 밀접한 외국어를 우리말로 다듬고 있다. 

 

새말모임에서 마련한 후보안은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수용도 조사와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특히 이번 심의회에서는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소버린 에이아이(AI)'에 대해 '독자 인공 지능' 또는 '자국 인공 지능'으로 복수 대체어를 선정함으로써 이를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국민 수용도 조사에서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대체어는 '친환경 기술'이었다. 이는 '자원 효율을 높여 생태를 보전하는 지속 가능한 기술'을 뜻하는 외국어 '그린 테크'를 다듬은 말이다.

 

이 외에도 '심 클로닝'은 '심 불법 복제'로, '에코 테크'는 '환경 친화 기술'로, '지오 테크'는 '기후 관측 기술' 순으로 이해하기 쉽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반드시 우리말로 바꿔 서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외국어는 '심 클로닝'이었다. 이는 '심(SIM) 카드의 정보를 복제해 같은 번호의 복제 심카드를 만드는 방법'을 뜻하며, '심 불법 복제'로 다듬어졌다. 이어 '퍼블릭 프로그램(대중 참여 활동/시민 참여 활동)', '어질리티(반려동물 장애물 경주)', '에인절 투자/엔젤 투자(창업 초기 투자)' 순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두 기관은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을 사용하면 정부 정책이나 언론 보도의 이해도가 높아지고, 국민과의 소통도 원활해진다"고 밝히며, 다듬은 말은 국립국어원 누리집의'다듬은 말'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5년 상반기 심의회에서는 중앙부처의 전문용어표준화(안)도 심의해 어려운 전문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었다.

 

대표적으로 외교부가 심의를 요청한 '이니셔티브'는 '구상'으로, '파트너십'은 '협력 관계' 또는 '동반 관계'로, '안사혁신처가 요청한 '에이치알(HR)'은 '인사'로, '풀(Pool)'은 '후보군'으로, '원스톱'은 '일괄' 등으로 표준화했다.

 

각 중앙행정기관은 '국어기본법(제17조)'에 따라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를 구성·운영하고 소관 전문용어에 대해 표준(안)을 마련해 국어심의회(국어순화분과위원회) 심의를 거쳐 고시해야 한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앞으로도 새로 들어오는 외국어를 신속하게 다듬어 국민에게 알리고, 누리소통망(SNS) 등 온라인 홍보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확산하는 등 쉬운 공공언어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