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생생 정책] 소비쿠폰 효과 '뚜렷'…소상공인 매출·골목상권 모두 웃었다

▷ 소비쿠폰 지급 후 소상공인 카드 매출 2.2%↑…안경점·의류 매출 급증
▷ 슈퍼마켓 점주 91% “매출 증가 체감”…‘분기별 제도화 필요‘ 현장 요구 커져

입력 : 2025.08.04 17:30 수정 : 2025.08.04 18:17
[생생 정책] 소비쿠폰 효과 '뚜렷'…소상공인 매출·골목상권 모두 웃었다 (사진=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위즈경제] 이수아 기자 =정부의 정책은 보통 숫자와 표, 제도적 설명으로 요약되지만, 그 진짜 효과는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삶 속에서 드러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국민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해 위축된 소비 심리를 회복하고, 동시에 지역 상권에 실질적인 활력을 불어넣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한 정책입니다.


이처럼, 위즈경제는 [생생정책] 연재를 통해 단순히 정책 내용을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정책이 기획된 취지와 실행 과정, 그리고 그것이 실제 현장에서 어떤 변화를 이끄는지를 시민과 상인의 목소리로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정책이 단순히 종이 위의 공약이 아닌, 삶의 현장에서 체감되는 현실로 반영되는 그 순간을 함께 기록하고자 합니다.[편집자주]


소상공인 매출 증가 ‘뚜렷’


정부가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쿠폰 지급 첫 주에 전국 소상공인 매출이 전주 대비 2%가량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4일 한국신용데이터(KCD)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집중적으로 사용된 지난 한 주간 전국 소상공인 평균 카드 매출액은 전주 대비 2.2%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안경점 매출이 전주보다 56.8% 급증해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패션·의류 업종의 매출은 28.4% 증가했으며, 유통업 전체 평균 매출도 12% 상승했다.


이어 면요리 전문점, 외국어 학원, 피자, 초밥·롤 전문점, 미용업 순으로 매출액 증가 폭이 컸다.


(그래픽=한국신용데이터)

 

반면 서비스업 매출은 지난주 보다 평균 매출이 3% 감소했는데, KCD 관계자는 “최근 이어진 폭염과 7월 말 휴가 기간으로 인한 감소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경남(9.4%), 전북(7.5%), 강원(6.6%), 충남(5.8%), 울산(5.8%), 대구(5.7%) 순으로 매출 증가 폭이 컸다. 반면 서울(-4.0%), 제주(0.8%)로 상대적으로 평균 매출이 감소했다. 


한국신용데이터 측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소상공인 매출 증가를 이끌어내고 있다”“유통, 외식 등 생활 밀착 업종에 뚜렷한 매출 변화가 나타난 만큼 소비쿠폰이 골목상권 회복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슈퍼마켓’ 매출도 올랐다…”정기적 시행 필요”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역 골목상권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4일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이하 연합회)는 산하 동네수퍼 119개 점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지난달 21~27일(쿠폰 사용 집중 기간) 매출이 전주 대비 증가했다고 응답한 매장이 90.8%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 중 ‘5% 미만 증가’는 28.6%, ‘5% 이상 증가’는 62.2%였다.

 

연합회는 “소비쿠폰이 탄핵정국과 고물가 여파로 위축된 소비심리 회복에 골목상권의 ‘회복과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망원시장 내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소비자 (사진=위즈경제)

 

소비자가 소비쿠폰으로 구매한 주요 품목은 생필품(세제·휴지 등) 66.4%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음료·주류 30.3%, 가공식품 27.7%, 신선식품(채소·육류 등) 18.5% 순으로 조사됐다.

 

소비쿠폰 제도에 대한 개선 요구로는 ‘정기적 지급 제도화’(39.5%), ‘사용처 확대’(소상공인 중심)(38.7%), ‘예산 증액’(36.1%) 등이 꼽혔다. 응답자의 99.2%는 “향후 같은 소비쿠폰 정책이 시행된다면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응답자 중에선 “소비쿠폰이 매출 상승에 큰 도움이 됐고, 손님 역시 생활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어려운 시기 마중물과 같은 원동력이 된다”는 등의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소비쿠폰 제도 개선을 위한 제안으로는 “예산을 더 늘려 분기별로 소비쿠폰 사업을 시행하길 바란다”, “매출 20억 미만으로 사용처 제한과 담배·주류 판매 제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소비쿠폰으로 인한 매출 증가와 함께 연합회는 오는 9월 2차 소비쿠폰 지급 시기에 ‘공동세일전’을 열 계획이다. 간장(29%), 식용유(25%), 세탁세제(27.5%) 등 주요 생필품의 할인 판매를 통해 소비자 혜택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송유경 연합회 회장은 “단기 지원에 그치지 않고, 소비쿠폰을 연계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이 지속돼야 한다”“소비 진작 효과가 확실히 입증된 만큼 향후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수아 사진
이수아 기자  lovepoem430@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