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李대통령-트럼프 첫 정상회담 ‘남북 피스메이커 제안’

▷ BBC “외교적 난관 피해”… 전략적 칭찬으로 신뢰 확보
▷ 무역·방위 현안은 접점 못 찾아… 한국, 조선·항공 계약으로 외교 나서

입력 : 2025.08.26 17:30 수정 : 2025.08.27 13:25
[외신] 李대통령-트럼프 첫 정상회담 ‘남북 피스메이커 제안’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사진=연합뉴스)
 

[위즈경제] 이수아 기자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집무실에서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BBC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회담 직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라며 ‘숙청 또는 혁명’을 언급했다. 

 

그러나 회담 과정에서 그는 “오해로 보인다”며 논란을 일축했다. 한국 교회와 미군기지 압수수색 논란 등에 대해서도 같은 반응을 보이며 상황은 정리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동맹국인 한국에 대해 꾸준히 경계심을 보여왔다. BBC는 “과거 그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반도에 주둔 중인 수만 명의 미군 병력을 한국이 ‘무임승차’ 하고 있다며 비난했다”며 한국의 국방비 지출과 대미 무역 흑자에 대해서도 반복적으로 불만을 제기했다고 전했다.  

 

BBC는 이번 회담에서 이 대통령이 노련하게 대응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고 평가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이의 개인적 유대에 대해 극찬했다” “이 같은 발언이 회담을 풀어나가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었다”고 분석했다.  

 

BBC는 이재명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나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이 겪었던 외교적 난처함을 피했다고 분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李 대통령, 남북 피스메이커 제안

 

이재명 대통령은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세계 지도자 중 전 세계 평화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성과를 낸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이라며 “피스메이커로서 역할이 눈에 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 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 역시 평화를 만들어 달라”“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도 만나달라”고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저의 노력만으로는 남북 관계를 개선하기 쉽지 않은 상태”라며 “트럼프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 역할을 해주신다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께서 추진하는 남북 정책에 진전이 있기를 바란다” “우리는 북한과의 관계에서도 큰 진전을 함께 이뤄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답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비공개 회담 결과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에게 현재 한국 정치적 상황을 묻고, 교역 및 관세 협상에 대한 간단히 논의했다”고 전했다. 

 

강 대변인은 이어 “이 대통령이 오는 가을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트럼프 대통령을 초청했고, 가능하다면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도 추진해 보자고 권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매우 현명한 제안이라고 평가하며 이 대통령의 제안을 여러 차례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 한국, 무역·국방 문제는 미해결 상태

 

한미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는 무역과 방위 문제였다. 하지만 두 분야 모두에서 구체적인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악수하는 두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백악관 회담 후 몇 시간 만에 대한항공이 미국의 보잉 항공기 103대를 구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제품에 최대 25%까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이후, 한국은 이를 15%로 낮추는 협상을 이끌어냈다. 이는 한국이 미국에 3,500억 달러(약 489조 원)를 투자하기로 약속한 데 따른 것이다. 이 가운데 1,500억 달러는 미국 조선 산업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BBC는 한국이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선박 건조량을 기록하는 조선 강국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조선업과 해군력이 쇠퇴한 미국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BBC는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가 단기간에 낮아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회담 후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우리는 무역에 관한 합의가 이뤄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다. 그는 “한국이 몇 가지 문제를 제기했지만, 우리는 미국의 입장을 고수했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얻은 확신 중 하나는 양국 간 경제 동맹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미국과 한국은 무역을 위해 서로가 필요하다”“우리는 한국의 제품과 선박 등 많은 것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석유와 천연가스 수입이 필요한 만큼 미국과의 에너지 거래도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수아 사진
이수아 기자  lovepoem430@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