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7월 전국 주택 가격 0.12% 상승…집값 상승 속 '월세화' 가속

▷ 한국부동산원 ‘2025년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 18일 발표
▷ 서울 주택 매매가 0.75% 상승·수도권 0.33% 올라
▷ 전세사기·대출규제 여파에 월세 선호 증가 ‘임대차시장 구조 변화’

입력 : 2025.08.21 13:00
7월 전국 주택 가격 0.12% 상승…집값 상승 속 '월세화' 가속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위즈경제] 이수아 기자 =주택담보대출을 6억 원 한도로 제한한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처음으로 발표된 월간 주택가격 조사에서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0.12%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주택종합(아파트, 연립·단독주택) 매매가는 전월보다 0.75%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은 일부 재건축 추진 등 거래가격이 상승했으나, 전반적인 관망세 지속와 수요 위축 등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성동구(2.07%)는 행당·옥수동 등 역세권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올랐고, 용산구(1.48%)는 도원·이촌동 주요단지 중심으로 상승했다. 마포구(1.37%) 역시 대흥·공덕동 중소형규모 위주로 상승세를 보였다.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0.33%로 상승했다. 경기도는 0.16% 오르며, 서현·구미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2.42%), 중앙·원문동 대단지 위주로 과천시(2.24%), 평촌·호계동 구축 위주로 안양 동안구(1.06%) 등이 주도했다.

 

인천은 0.08%로 하락했는데, 운서·중산동 중소형규모위주로 중구(-0.15%), 옥련·연수동 구축 위주로 연수구(-0.12%), 도화·용현동 위주로 미추홀구(-0.11%) 등이 견인했다. 

 

지역 5대 광역시 중 대구는 달서·북·남구 구축을 중심으로, 대전은 유성구 중대형 규모 및 서구를 중심으로 하락했다. 제주는 매수 수요가 감소하며 서귀포시 위주, 전남은 광양·여수·순천을 중심으로 하락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는 상승폭이 축소된 반면, 연립주택은 상승세를 유지했고, 단독주택은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아파트값이 전월 대비 1.0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립주택(0.30%), 단독주택(0.29%)도 각각 올랐다. 

 

전세가격지수, 서울은 전반적 상승세, 지방은 소폭 하락세 유지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은 전월보다 0.04% 확대됐다. 지역별로 서울은 0.24%로 상승했지만 지방은 -0.03%로 하락했다.

 

서울 서초구(-0.36%)는 잠원·반포동 입주 물량의 영향을 받아 하락했으나, 송파구(0.74%)는 잠실·문정동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했다. 강동구(0.63%)는 암사·명일동, 동작구(0.42%)는 흑석·상도동 역세권 위주로, 영등포구(0.33%)는 당산동5가 및 여의도동 선호단지 중심으로 올랐다.

 

 

서울의 한 공인중개소 (사진=연합뉴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은 지역·단지별 상승·하락이 혼재됐지만, 역세권 및 선호단지 중심으로 꾸준히 수요가 이어지며 상승세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경기는 고양 일산동구(-0.41%), 평택시(-0.34%) 등이 하락했으나 과천시(1.67%), 안양 동안(0.80%)는 상승했다. 인천은 서구(-0.24%), 미추홀구(-0.17%)로 중형 규모 위주로 내렸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 상승폭이 확대됐고, 연립주택은 보합세를 보였으며, 단독주택은 시세가 거의 변동이 없었다..

 

서울은 전월 대비 아파트(0.31%), 연립주택(0.16%), 단독주택(0.10%)이 모두 상승했지만, 지방은 아파트(-0.02%), 연립주택(-0.07%), 단독주택(-0.02%)이 모두 하락했다.

 

전세사기·대출규제·전세값 급등 여파… 세입자 ‘월세 선호’ 뚜렷

 

월세통합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09% 확대됐다. 세부적으로는 월세(0.18%), 준월세(0.13%), 준전세(-0.03%)로 집계됐다.

 

서울은 월세통합 가격이 0.23% 상승했으며, 용산구(0.56%), 송파구(0.51%), 노원구(0.34%), 서대문구(0.30%)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은 월세 선호 현상으로 매물 부족이 이어지며,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 중심으로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경기는 하남시(0.40%)·수원 팔달구(0.36%)가, 인천은 남동(0.21%),·부평구(0.16%) 가 각각 올랐다.

 

 

서울 시내에 있는 공인중개소에 붙은 전월세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올해 전체 임대차 계약 중 월세 비중이 60%를 넘었다”“임대차시장이 주택 월세화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급속도로 진행된 주택 월세화의 배경으로 ▲전세값 급등의 후폭풍 ▲빌라 전세사기 ▲전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확대▲6.27 수도권 대출규제 등을 꼽았다.

 

KB부동산 시세에 따르면 7월 현재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2년 전보다 10.5% 올랐다. 박 위원은 “전세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임대료 일부를 월세로 지급하는 세입자가 늘었다”“세입자는 이사보다 계약갱신청구권을 통해 월세 5% 인상으로 2년 더 거주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세사기는 월세화 흐름에 메가톤급 영향을 미쳤다”“전세보증보험으로 빌라 전세를 계약하기도 하지만, 아예 월세살이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한 30대 신혼부부의 사례를 인용하며 “전세는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이 강해, 다소 비싸더라도 월세살이가 낫다고 생각하는 세입자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6.27 대출규제와 관련해 “전세대출에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적용하면, 신혼부부 등 실수요자들의 전·월세 선택에 영향을 주며 월세화를 자극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 수석전문위원은 “월세 시대가 오면 깡통전세나 전세사기는 사라지겠지만, 주거의 고비용 구조가 고착화될 수 있다”“월세 세액 공제나 바우처 확대, 공공임대주택 확충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수아 사진
이수아 기자  lovepoem430@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