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전국 주택 가격 0.12% 상승…집값 상승 속 '월세화' 가속
▷ 한국부동산원 ‘2025년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 18일 발표
▷ 서울 주택 매매가 0.75% 상승·수도권 0.33% 올라
▷ 전세사기·대출규제 여파에 월세 선호 증가 ‘임대차시장 구조 변화’

[위즈경제] 이수아 기자 =주택담보대출을 6억 원 한도로 제한한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처음으로 발표된 월간 주택가격 조사에서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0.12%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주택종합(아파트, 연립·단독주택) 매매가는 전월보다 0.75%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은 일부 재건축 추진 등 거래가격이 상승했으나, 전반적인 관망세 지속와 수요 위축 등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성동구(2.07%)는 행당·옥수동 등 역세권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올랐고, 용산구(1.48%)는 도원·이촌동 주요단지 중심으로 상승했다. 마포구(1.37%) 역시 대흥·공덕동 중소형규모 위주로 상승세를 보였다.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0.33%로 상승했다. 경기도는 0.16% 오르며, 서현·구미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2.42%), 중앙·원문동 대단지 위주로 과천시(2.24%), 평촌·호계동 구축 위주로 안양 동안구(1.06%) 등이 주도했다.
인천은 0.08%로 하락했는데, 운서·중산동 중소형규모위주로 중구(-0.15%), 옥련·연수동 구축 위주로 연수구(-0.12%), 도화·용현동 위주로 미추홀구(-0.11%) 등이 견인했다.
지역 5대 광역시 중 대구는 달서·북·남구 구축을 중심으로, 대전은 유성구 중대형 규모 및 서구를 중심으로 하락했다. 제주는 매수 수요가 감소하며 서귀포시 위주, 전남은 광양·여수·순천을 중심으로 하락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는 상승폭이 축소된 반면, 연립주택은 상승세를 유지했고, 단독주택은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아파트값이 전월 대비 1.0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립주택(0.30%), 단독주택(0.29%)도 각각 올랐다.
◇ 전세가격지수, 서울은 전반적 상승세, 지방은 소폭 하락세 유지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은 전월보다 0.04% 확대됐다. 지역별로 서울은 0.24%로 상승했지만 지방은 -0.03%로 하락했다.
서울 서초구(-0.36%)는 잠원·반포동 입주 물량의 영향을 받아 하락했으나, 송파구(0.74%)는 잠실·문정동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했다. 강동구(0.63%)는 암사·명일동, 동작구(0.42%)는 흑석·상도동 역세권 위주로, 영등포구(0.33%)는 당산동5가 및 여의도동 선호단지 중심으로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은 지역·단지별 상승·하락이 혼재됐지만, 역세권 및 선호단지 중심으로 꾸준히 수요가 이어지며 상승세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경기는 고양 일산동구(-0.41%), 평택시(-0.34%) 등이 하락했으나 과천시(1.67%), 안양 동안(0.80%)는 상승했다. 인천은 서구(-0.24%), 미추홀구(-0.17%)로 중형 규모 위주로 내렸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 상승폭이 확대됐고, 연립주택은 보합세를 보였으며, 단독주택은 시세가 거의 변동이 없었다..
서울은 전월 대비 아파트(0.31%), 연립주택(0.16%), 단독주택(0.10%)이 모두 상승했지만, 지방은 아파트(-0.02%), 연립주택(-0.07%), 단독주택(-0.02%)이 모두 하락했다.
◇ 전세사기·대출규제·전세값 급등 여파… 세입자 ‘월세 선호’ 뚜렷
월세통합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09% 확대됐다. 세부적으로는 월세(0.18%), 준월세(0.13%), 준전세(-0.03%)로 집계됐다.
서울은 월세통합 가격이 0.23% 상승했으며, 용산구(0.56%), 송파구(0.51%), 노원구(0.34%), 서대문구(0.30%)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은 월세 선호 현상으로 매물 부족이 이어지며,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 중심으로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경기는 하남시(0.40%)·수원 팔달구(0.36%)가, 인천은 남동(0.21%),·부평구(0.16%) 가 각각 올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올해 전체 임대차 계약 중 월세 비중이 60%를 넘었다”며 “임대차시장이 주택 월세화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급속도로 진행된 주택 월세화의 배경으로 ▲전세값 급등의 후폭풍 ▲빌라 전세사기 ▲전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확대▲6.27 수도권 대출규제 등을 꼽았다.
KB부동산 시세에 따르면 7월 현재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2년 전보다 10.5% 올랐다. 박 위원은 “전세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임대료 일부를 월세로 지급하는 세입자가 늘었다”며 “세입자는 이사보다 계약갱신청구권을 통해 월세 5% 인상으로 2년 더 거주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세사기는 월세화 흐름에 메가톤급 영향을 미쳤다”며 “전세보증보험으로 빌라 전세를 계약하기도 하지만, 아예 월세살이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한 30대 신혼부부의 사례를 인용하며 “전세는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이 강해, 다소 비싸더라도 월세살이가 낫다고 생각하는 세입자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6.27 대출규제와 관련해 “전세대출에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적용하면, 신혼부부 등 실수요자들의 전·월세 선택에 영향을 주며 월세화를 자극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 수석전문위원은 “월세 시대가 오면 깡통전세나 전세사기는 사라지겠지만, 주거의 고비용 구조가 고착화될 수 있다”며 “월세 세액 공제나 바우처 확대, 공공임대주택 확충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1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