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가장 인기가 많았던 자격증은?
▷ 2021년, 컴퓨터활용능력이 1등으로 가장 많은 응시자가 몰려
▷ 전기와 지게차, 제과/제빵 응시자가 몰려
▷ 전체 자격증 취득자 중 청년층이 약 44%
#역시 컴활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해, 가장 많은 인기를 얻은 국가기술자격시험은 무엇일까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발간한
‘2022년 국가기술자격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응시한 항목은 ‘컴퓨터활용능력1급’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생
2,489,336명 중 364,863명, 약 14%가 컴퓨터활용능력 1급을 따기 위해 공부한 셈인데요.
컴퓨터 활용능력 2급의
응시자 역시 235,984명으로 컴활 1급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등급별로 따지면
기능사가 제일 많아
★ 국가기술자격시험 등급
기술사: 건축시공, 토목시공, 소방 등
기능장: 위험물, 전기, 가스 등
기사: 전기, 정보처리, 산업안전 등
산업기사: 전기, 산업안전, 위험물, 사무자동화
등
기능사: 지게차운전, 한식조리, 제과, 굴착기운전, 전기 등
서비스: 컴퓨터활용능력, 워드프로세서, 직업상담사 등
위에서 볼 수 있듯이 국가기술자격시험에는 다양한 등급이 있습니다.
기술을 얼마나 연마했는지, 지식은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지 분야 별로 평가하는데, 산업 분야의 경우 상대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많은 등
난이도가 각각 상이합니다.
등급 별로 보면, 기능사가
전체 응시자의 40.3%로 가장 많습니다.
그 다음으로 서비스가 29.3%,
기사가 18.7%, 산업기사 9.9%, 기술사가 0.9%, 기능장 0.9%순입니다.
#취업에 강한 전기, 지게차운전
등급 별 응시자 수를 보면 현 취업시장에서 어떤 자격증이 많은
이득을 가져다주는지 유추할 수 있습니다.

기사와 산업기사 분야에서 응시자가 제일 많은 건 ‘전기’입니다. (전기기사 60,500명, 전기산업기사 37,892명)
전기 분야 관련 자격증을 갖추고 있다면 한국전력 등 공기업 취업에서 유리한
고지를 가져갈 수 있으며, 에너지를 다루는 사기업을 지원할 때에도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게차 운전의 인기도 만만치 않습니다.
2021년, 기능사 중 지게차 운전(101,408명) 시험의 응시자는 컴퓨터활용능력 1,2급을 이어 세 번째로 많습니다.
지게차 운전 필기와 실기시험을 통과하면 지게차를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물류사 취업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
#혜성처럼 떠오른
제과, 제빵

흥미로운 점은, 지난해
제과/제빵 분야의 응시자 수가 122,950명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는 것입니다.
산업인력공단은 “최근
디저트 문화가 발달하면서, 대형카페와 프랜차이즈 등이 늘어나 제과/제빵
자격의 취득이 취업은 물론 창업도 가능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라며, 해당 분야의 인기를 설명했죠.
#자격증, 취업의 필수요소
2015년부터 시행된
국가기술자격의 응시자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응시자는 2020년에 비해 20.8%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취득자도 덩달아 늘어,
2020년 715,901명이었던 취득자가 2021년엔
839,751명을 기록했습니다. 1년 사이에 10만 명 이상이 증가한 셈이죠.
자격증이 청년 취업 시장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은 여전히 큰 것처럼
보입니다.
2021년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비율 중에서 청년층이 전체의 44.3%(372,037명)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