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조국혁신당 여성위원회 "장 전 의원 성폭력 의혹, 철저한 진상규명 필요해"

▷10일 국회소통관서 기자회견 열어
▷"국민의힘은 책임 있는 자세로 공식 입장 밝히라"

입력 : 2025.03.10 16:24 수정 : 2025.03.10 16:25
조국혁신당 여성위원회 "장 전 의원 성폭력 의혹, 철저한 진상규명 필요해" 성범죄 처벌 강화라고 적힌 판넬에 스터거가 부작되어 있다. 사진=조국혁신당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조국혁신당 여성위원회(위원장 강경숙)는 10일 국회 소통관에서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의 성폭력 의혹 사건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 발표를 촉구하며 경찰의 엄정한 수사를 요구했다. 여성위원장 강경숙 의원은 이번 사건에 대한 심각성을 강조하며, 피해자의 용기를 지지하고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장제원 전 의원은 과거 대학 부총장 시절, 비서 A씨에게 성폭력을 행사한 혐의로 의혹을 받고 있다. 2015년 11월, 총선 출마 포스터 촬영 후 서울 강남 한 호텔에서 비서와 술자리를 가진 뒤 성폭력을 저질렀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피해자는 사건 이후 극심한 트라우마로 정상적인 근무가 어려웠으며, 장 전 의원은 피해자에게 “그렇게 가면 내 맘은 어떡해” 등의 문자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장 전 의원은 현재 모든 혐의를 부인하고 있으며, 보도 직후인 3월 5일 국민의힘을 탈당하겠다고 밝혔다.

  

  강경숙 위원장은 “시간이 흐른다고 죄가 덮이거나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며, “성폭력 사건에서 피해자가 즉시 신고하기 어려운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장 전 의원이 당시 국회의원 신분으로 피해자와의 명백한 상하관계를 이용한 권력형 성범죄 가능성을 지적하며, 국민의힘의 침묵을 비판했다.  

 

  강 위원장은 “국민의힘은 장제원 전 의원의 성폭력 의혹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히고, 권력형 성범죄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경찰과 검찰은 어떠한 외압에도 흔들리지 않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히 수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위원장은 2016년 미투 운동 이후 성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졌음을 언급하며, “그럼에도 여전히 권력형 성범죄가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사건이 미투 운동의 교훈이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며 분노를 표했고, “조국혁신당 여성위원회는 이번 사건이 끝날 때까지 피해자와 함께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위원장은 “국민의힘이 계속해서 침묵한다면 이는 단순한 방관이 아니라 성범죄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스스로 저버리는 것”이라며, 국민의힘 지도부의 즉각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그는 “피해자의 용기에 연대하며, 철저한 수사와 정의로운 판결이 이루어질 때까지 함께하겠다”고 결의를 다졌다.

 

  조국혁신당 여성위원회는 이번 기자회견을 통해 장제원 전 의원의 성폭력 의혹 사건에 대한 진상 규명과 국민의힘의 책임 있는 대응을 강력히 요구했다. 또한, 권력형 성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다시 한번 환기시키며, 피해자의 권리 보호와 공정한 수사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다짐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