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탈모 치료에 좋다는 '탈모 샴푸'?... 광고에 속지 말자

▷ 탈모 샴푸, 341건 중 172건이 '허위/과대광고'
▷ 머리카락을 씻어내는 방식의 탈모 치료제 없어
▷ 탈모 치료제 '피나스테리드'... 부작용 있어 주의

입력 : 2022.11.07 14:30 수정 : 2022.11.07 14:45
탈모 치료에 좋다는 '탈모 샴푸'?... 광고에 속지 말자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탈모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샴푸, 일상 속에서 쉽게 들어봤을 법합니다.

 

 

한 탈모 샴푸 제품의 광고 문구 (출처 = 쿠팡)

 

 

탈모 증상 완화’, ‘탈모 방지등의 문구를 내걸고 있는 제품이 상당히 많은데요. 이러한 탈모 샴푸들은 근본적으로 탈모의 해결책이 되기가 어렵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샴푸가 탈모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처럼 온라인상에서 광고, 판매한 누리집 341건 중 위반사항 172건을 적발했습니다.

 

대부분의 탈모 치료제는 두피에 직접 흡수되어 작용하는데, 샴푸처럼 머리카락을 씻어내는 방식의 탈모 치료제는 없기 때문인데요.

 

심지어 샴푸는 의약품이 아닌, 특별한 의학적 효능을 기대할 수 없는 화장품입니다. 탈모 치료’, ‘탈모 방지’, ‘발모/육모/양모’, ‘모발 성장등의 표현을 써서 광고할 수 없는데요.

 

예외적으로 탈모 기능성화장품으로서 심사를 받거나 보고를 했다면 탈모 샴푸’, ‘탈모 관리’, ‘탈모 케어등의 표현으르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근본적으로 탈모 치료예방의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탈모 샴푸 광고의 주요 적발 사례 (출처 = 정책브리핑)

 

 

이와 관련해, 시중의 여러 제품이 탈모 샴푸를 마치 의약품인 것처럼 혼동시킬 수 있는 과대 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식약처가 확인한 위반사항 172건 중, 의약품으로 오인시키는 광고가 160(93%), 기능성화장품이 아닌 화장품을 기능성화장품으로 혼동시키는 광고 5(2.9%), 기타 소비자 기만 광고가 7(4.1%)로 나타났습니다.

 

탈모 샴푸 341건 중 172건이 적발되었으니, 사실상 탈모 샴푸 제품의 절반 정도가 허위/과대광고를 하고 있는 셈입니다.

 

# 탈모 샴푸보다는, 병원을 일찍 찾는 게 좋다

 

탈모를 치료하기 위해서 샴푸에 기대는 것보다는 빠르게 병원을 찾는 게 좋습니다.

 

탈모에 보조적인 도움을 주는 기능성 샴푸가 붉은 반점, 부어오름, 가려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반면, 탈모 초기 단계일수록 병원을 일찍 찾는다면 그 치료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인데요.

 

아울러, 탈모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합니다.


식습관이나 모발 관리, 스트레스, 음주와 흡연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탈모 치료/예방에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의약품으로 탈모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대표격이 피나스테리드라는 주성분을 갖고 있는 의약품들입니다.

 

피나스테리드의 효능은 보통 성인남성( 18~41)남성형 탈모(androgenetic alopecia)의 치료입니다. 일반적으로 111(1mg)을 투여하며, 3개월 이상 복용해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요.

 

다만, ‘피나스테리드에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복용에는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 제품이 남성만을 위한 치료제인 만큼, 소아환자나 여성은 섭취하면 안 됩니다.

 

피나스테리드는 남성태아의 외부생식기 비정상을 초래할 수 있는데요.

 

임신부가 이 약을 만지기만해도, 피부로 흡수되어 남자 아기의 생식기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아울러, 피나스테리드를 복용한 환자들 중에서 우울증, 자살생각을 포함한 기분변형이 확인되었으므로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도 멀리하는 게 좋습니다.

 

, 피나스테리드가 간에서 대사되는 만큼, 간기능에 이상이 있는 환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한 가지 더 신경 써야 할 건 피나스테리드가 성기능에 좋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남성 탈모증 환자 945명에게 1년간 피나스테리드 1mg을 투여한 실험 결과, 36(3.8%)이 성기능 관련 이상반응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욕감퇴(1.8%), 발기부전(1.3%), 사정장애(1.2%) 등의 증상이 발현한 것인데요.

 

다행인 점은 성기능에 문제가 생겨 피나스테리드투약을 중단한 모든 환자에게서 이상반응이 사라졌으며, 투약을 계속한 환자에게도 대부분의 이상반응이 없어졌다는 것입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