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후폭풍...증시·환율 향후 전망은?
▷코스피 지수 등락 거듭...외국투자자 매도세 커져
▷전문가 "단기적 변동성은 커...점차 안정화 찾을듯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 여파로 국내 증시와 환율이 요동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금융시장 내 단기적 변동성을 클 것이라 전망하면서도 정부가 관련 조치를 내놓고 있는 만큼 점차 안정을 찾을거란 입장이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41.58p(1.66%)하락한 2458.52로 시작했다. 이후 9시44분 기준 코스피는 전날 대비 최고 57.46p까지 떨어졌다. 현재까지도 코스피는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코스피가 요동치는 데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에 따른 불안정성 우려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거세진 탓이다. 10시 44분 기준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3355억을 팔아치우고 있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2766억원, 385억을 사들였다.
환율도 롤로코스터처럼 움직이고 있다.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지난 3일 1405.5원에 개장한 뒤 1400원대 등락했으나 비상계엄 선포 소식이 전해진 오후 10시 30분부터 가파르게 상승해 이날 오전 12시 20분 1442.0원까지 급등했다. 현재 원 달러 환율은 하향안정 중이다.
증권가에선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단기적 변동성이 나타날 것이란 입장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금번 사태 이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단기 변동성 확대를 경계해야 한다"면서 "다만 국내 증시와 환율 시장이 극심한 저평가 영역에 위치한 만큼 점차 안정을 찾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정부가 적극적 시장 안정화 조치를 피력한 만큼 금융 시장 변동성은 충분히 제어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신한 리서치본부 투자전략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철회 공식화와 유동성 지원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 높이는 제어될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연말 탄핵정국 진입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국정 불안 요인은 잔존한다"고 설명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