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F의 눈 밖에 난 러시아
▷ 국제금융기구, FATF
▷ FATF,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 유감...활동 배제"
▷ 이외에도 트래블룰 강조하는 등, 자금세탁 경고
# FATF, 러시아 강력 비판

FATF(Financial Action Task Force)가 러시아를
비판하는 공개성명을 냈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발생한 우크라이나의 비극과 인명손실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면서 FATF는 러시아에 대한 대대적인 제재에 들어갔습니다.
FATF 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금융시스템의 무결성, 안전, 보안을 목표로 하는 FATF의
핵심가치에 위배되며, 국제협력 및 상호 존중 합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
이에 따라 FATF 내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FATF는 러시아 쪽 인물이 의장 및 자문 역할을 맡는 걸 제한하는
등, FATF의 사실상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서 러시아를 배제했습니다.
다만, FATF의 러시아 제재가 영구적인 건 아닙니다. 앞으로 주기적으로 여는 FATF 총회에서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해제
혹은 변경 여부를 매번 논의한다고 합니다.
★ FATF란?
자금세탁, 테러자금조달 등 범죄를 위한 자금 세탁을 방지하는 국제
기구
FATF가 정한 국제 기준을 이행하지 않거나, 협조하지 않으면 금융제재 이행
정회원(37개국+2기구) + 준회원(9개 지역기구) + 옵저버로
구성
#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조달
with 부동산
FATF는 부동산이 부정한 자금 세탁 통로로 활용되는 걸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FATF가 발간한 <부동산
부문에 대한 위험기반 접근서 지침서>에 따르면, 전문가들이
부동산을 이용한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 조달 위험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하다고 평가했습니다.
# 트래블룰 여전히 중요해
FATF는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해서 트래블룰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견지했습니다.
FATF에 따르면,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해 트래블룰 제도를 도입하거나 시행 예정인 국가는 98개국 중 30개국이며, 미도입 국가는 61개국에 달한다고 합니다.
★ 트래블룰
가상자산 이전 시 송신인, 수신인 관련 정보를 의무적으로 제공하는
제도
우리나라는 지난 2021년 3월부터
시행중
현재 트래블룰 제도를 시행 중인 국가는 11개국, 시행 예정 국가는 14개국
그러면서, 가상자산은 여전히 부정한 자금 세탁의 통로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트래블룰을 하루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 FATF 블랙리스트
FATF는 '자금세탁, 테러 자금 조달 방지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제 기준을 정해
놓았습니다.
이 국제기준을 이행하지 않는 국가는 FATF에서 ‘조치를 요하는 고위험국가’로 지정합니다. 또, 제도적 결함을 보완하고 있는
‘강화된 관찰대상 국가’도 있습니다.
자금세탁이나 테러자금조달 문제에 있어서 고위험국가보단 낫다는 뜻이죠.
FATF가 이번에 발표한 ‘조치를 요하는 고위험국가’는 이란과 북한, ‘강화된 관찰 대상 국가’는 알바니아와 미얀마를 비롯한 23개국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