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르포] 에듀플러스위크 미래교육박람회 가보니

▷교사·학부모 등 교육관계자들로 인산인해...10일까지 진행 예정

입력 : 2024.08.09 15:11 수정 : 2024.08.09 15:27
[르포] 에듀플러스위크 미래교육박람회 가보니 8일 서울코엑스 A홀에서 '에듀플러스위크 미래교육박람회'가 열렸다. 사진=위즈경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9일 서울코엑스 A홀에서 '에듀플러스위크 미래교육박람회'가 열렸습니다. 이날 행사 현장에는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체험하고 미래 교육의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자 모인 정부 관계자, 교장·교감·교사, 교육기관·기업, 학부모·학생으로 인산인해를 이뤘습니다. 

 

박람회는 15개국 207개 교육기관·기업·단체가 참여했습니다. AI코스웨어·STEM/SW·AR/VR/메타버스·학습관리시스템·콘텐츠·수업지원도구·기자재·교구·체험학습·사회정서 등 다양한 교육 솔루션과 서비스가 전시됐습니다. 또한 전시 이외에 교사 역량강화를 위한 연수회·교육세미나 등이 다양하게 진행됐습니다.

 

◇미래엔 '엠티처'...선생님 긍정적 반응

  

9일 교육 관계자가 미래엔 부스 안에서 엠티처를 직접 이용해보고 있다. 사진=위즈경제

 

 

미래엔 부스로 들어서자 '엠티처'(교수 활동 지원 플랫폼)가 눈에 띄었습니다. 현장에서 엠티처에 들어갈 새로운 기능인 메이크 엑스(Make X)와 아이들의 학습을 측정하고 학습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서비스를 체험하고 설명을 들었습니다. 엠티처는 초·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 준비와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교수 활동 지원 플랫폼을 말합니다. 

 

메이크엑스는 미래엔에서 출시를 준비 중인 제품으로 학습자료를 직접 편집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관계자는 "선생님이 학습 목차에 대해 편집이 가능하고 내년 초부터는 각각 목차에 대한 편집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선생님들의 효율적인 수업준비를 돕는다는 점에서 훌륭한 수업 보조도구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해당 플랫폼을 체험해본 선생님들은 긍정적 반응을 보였습니다. 경기도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 A씨는 "수업 보드로 학생 화면을 실시간 관리할 수 있고 학생 학습지 응시 및 자동 채점이 가능해 수업시간에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이외에도 "라이브 강연회 등 다양한 컨텐츠를 함께 나누고 나누는 자료실도 있어 앞으로 수업에 도움이 될 것 같다" 등의 의견도 나왔습니다.

 

◇동아출판, '공유'를 키워드로 한 두클래스 선봬...관계자 눈길 끌어

 

 

9일 동아출판 부스 안. 관계자가 교사들에게 두클래스 관련 서비스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위즈경제

 

 

동아출판 부스 안에 들어서자 교실 수업 지원 플랫폼인 '두클래스'와 관련된 서비스들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부스를 찾은 교육관계자들은 직원분들을 통해 AI독서 수업 플랫폼 '온북', 맞춤형 수학 학습 관리 솔루션인 'AI 출제마법사', 디지털 문항 제작 서비스 '워크북'에 대해 설명을 들었습니다.

 

기자가 직접 설명을 듣고 난뒤 두클래스와 관련된 서비스들의 가장 큰 특징은 '공유'였습니다. 관계자에 따르면, 온북은 전자책을 대여하고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로 선생님이 학생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책의 링크를 전달하고 활동지를 함께 만들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와 함께 워크북은 디지털 학습지로 선생님이 출제된 문제를 학생과 공유하고 학생은 문제를 풀어 선생님에게 전달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교사들의 질 높은 수업 설계가 가능하다는 것이 관계자 측 설명입니다. 

 

현장의 교육 관계자들도 해당 서비스에 대해 관심을 보였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교사 B씨는 "온북이라는 서비스가 가장 눈에 들어왔다. 선생님이 직접 책을 추천해주고 독후감을 함께 공유할 수 있어 독서율을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될 것 같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지난 8일에 개막된 제 15회 2024 에듀플러스위크 미래교육박람회는 10일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