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픽스 상승에 주담대도 올라…”늘어난 이자 어떡하나”
▷지난 7월에 이어 역대 두번째 높아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영향 미쳐
▷고정형 정책 금융상품 활용해야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 “주담대 대출 상승 소식에 한숨부터 절로 나온다. 월급으로만 대출이자를 갚기 어려워 퇴근 후에 할 만한 부업거리를 찾아보고 있다”
지난 17일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금리가 14년
만에 8%를 넘어설 것이란 소식에 직장인 A씨가 한 숨을
쉬며 한 말입니다. A씨는 올해 주택담보대출액 4억 3716만원을 금리 연 4%(30년 원리금균등상환방식)로 빌려 매월 209만원의 원리금을 냈습니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말에 8%까지 오르게 되면 그가 갚아야하는
월납입금액은 약 290만원에 달합니다. 하루아침에 월 80만원 가량의 원리금을 추가로 갚아야 하는 셈입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9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지난달과 비교해
0.44%p 오른 3.4%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7월 기록한 역대 최대 월간 상승폭인 0.52%p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4.65~6.05%에서 하루만에 연
5.09~6.49%로, 우리은행은 연 5.24~6.04%에서
연 5.68~6.48%로 상승했습니다. 지난달 코픽스 직후와
비교하면 상단이 0.16%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농협∙신한우리∙SC제일∙하나∙기업∙국민∙한국씨티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가 인상 또는 인하될 때 이를 반영하여 상승 또는 하락하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주요 은행들의 전세대출과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등의 연동 금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즉,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오르면 주택대출의 기준금리도 함께
오르는 셈입니다.
9월 코픽스가 오른 데에는 8월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채권금리와 은행 수신금리가 오르고 은행권 정기예금 잔액 증가가 영향을 미쳤습니다. 은행권
관계자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과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은행권의 자금 조달 경쟁 심화에 코픽스가 상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LCR는 국제결제은행(BIS)유동성 규제 기준 중 하나로 30일간 순현금유출액 대비 고유동성자산(현금·국공채·예금 등)의 비율입니다.
문제는 코픽스 오름세가 더 가팔라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한은이
지난 12일 기준금리를 0.5%p 인상한 효과가 다음달 이후
본격화되기 때문입니다. 미국이 긴축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한은은 11월
말에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각에선 코픽스 상승과 함께 은행권 주담대 금리 상단은
연내 8%까지 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기존 대출을 보유한 차주의 경우 ‘안심전환대출’ 등 고정형 정책 금융상품으로 갈아타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