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기준 금리 인상이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읽기 전에 보는 세 줄 요약
1. 금리 올리면, 부채는 어떻게 하나
2. 우-러 전쟁으로 막힌 공급망 해결해야
3. 금리 인상이 경제의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입력 : 2022.06.20 11:00 수정 : 2022.08.26 10:47
 

 

# 기준 금리 인상이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기준 금리 인상이 물가 안정에 기여한다는 점은 학계에서 검증된 주장입니다.

 

그러나 가파른 기준 금리 인상을 두고 회의적인 주장도 여럿 제기되고 있습니다.

 

먼저부채문제입니다. 국내 가계부채는 올해 1분기 말 기준 무려 1859조 원입니다. 기업부채도 무려 작년 말 기준 2361조 원에 달합니다.

 

이 상황 속에서 기준 금리를 올리면 채무자들의 부담은 어마어마하게 증가합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리가 0.25%p 올랐을 때 가계 이자 부담은 3 2000억 원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가구당 연평균 16 1000원의 이자를 더 납부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특히, 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산 영끌족은 이미 비상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값은 하락하는데 오히려 납부해야 할 이자는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늘어난 부채 부담으로 소비와 투자가 극단적으로 위축되고, 결국 경기침체를 불러올 수도 있다는 것이 현 금리 인상의 비관적인 전망입니다.

 

두 번째로, ‘금리 인상이 치솟는 물가를 잡을 수 있을 것인가하는 의문입니다.

 

금리 인상이 물가 안정에 만병통치약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회의적인 주장이죠.

 

이 주장의 요지는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붕괴한 공급망을 재건해야 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금리 인상으로 시중에 풀린 돈을 거둬들인다고 해서 무조건 물가가 안정되는 것이 아니라, ‘-러 전쟁이 야기한 공급 문제를 해결해야 물가를 잡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럴 경우 필요한 건 금리 인상 같은 통화정책이 아니라, ‘-러 전쟁을 끝낼 수 있는 외교적 수단이겠죠.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 曰 "경제 외적인 요인에 의한 공급량 부족이 문제, 전통적인 재정금융정책이 얼마나 효과가 있겠느냐

 

기준 금리 인상이 오히려역효과를 낼 것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전체적인 소비 수요가 줄어 기업의 자금 조달에 문제가 생기고, 투자도 줄어들면서 결국엔 공급에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죠.

 

공급이 부족해지면 결국 수요와 상관없이 물가는 상승합니다.

 

 

#금리 인상보다 중요한 건 전쟁 종식

 

금리 인상의 가장 주요한 원인은물가입니다. 지난 5월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무려 5.4%,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로 솟았습니다.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물가 상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건 결국-러 전쟁입니다.

 

지난 2,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 미국과 유럽이 우크라이나를 돕기 시작하면서 세계 정세는 얼어붙기 시작했습니다.

 

러시아는 유럽으로 향하는 가스 배관의 밸브를 잠갔고, 중국 역시 러시아에게 우호적으로 행동하며 미국을 견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를 순환하던 경제의 고리가 일부분 단절된 셈이죠.

 

만약 기준 금리 인상이 물가를 안정시킨다고 해도, 그것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모르는 일입니다. 근본적인 문제인-러 전쟁이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결국 필요한 건, ‘-러 전쟁을 종식시키고 경제적 순환의 고리를 회복할 수 있는 외교적 해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번 치솟은 물가는 금리 인상으로 어떻게든 잡는다고 하지만, 전쟁이 불러온 정신적, 물질적 피해는 영원히 남으니까요.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