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프리미엄차 시장에서 흥행가도 달리는 제네시스…이유는?
▶국내 프리미엄차 경쟁 구도에서 원톱 브랜드 위상 굳힌 제네시스
▶국내 자동차 브랜드 평판 조사에서는 기아차가 1위 차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현대차의 제네시스가 국내 프리미엄차 경쟁 구도에서 ‘원톱’ 브랜드의 위상을 더욱 굳혔습니다.
7일 자동차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국내 프리미엄차
구입자 중 제네시스와 벤츠를 놓고 선택을 고민하는 소비자가 가장 많았고, 그 중 많은 사람이 최종적으로
제네시스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프리미엄차 구입시점 경쟁규모 1순위는 ‘제네시스-밴츠(14.7%)’로
분석됐습니다.
이는 프리미엄차를 구입한 100명 중 15명이 제네시스와 벤츠를 놓고 선택 직전까지 비교한 셈이며, 두
모델은 전년까지 부동의 1순위였던 ‘BMW-벤츠(13.2%)’를 밀어내고 1위의 자리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그 다음으로 ‘제네시스-BMW(9.9%)’,
‘제네시스-볼보(4.0%)’, ‘제네시스-아우디(3.4%)’가 뒤를 이었습니다.
제네시스는 경쟁규모 TOP5 중
BMW-벤츠를 제외한 4개 경쟁 관계에도 이름을 올렸으며,
다른 브랜드와의 경쟁 관계에서도 모두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제네시스와 벤츠, BMW를 각각 비교한 소비자 5명 중 3명(벤츠 비교자
64%, BMW 비교자 57%)이 제네시스를 낙점했으며, 볼보, 아우디와 비교한 소비자의 제네시스 선택 비율은 4명 중 3명꼴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제네시스와 톱4 수입 브랜드를 비교한 10명 중 6~7명이 제네시스를 구입한 것입니다.
또한 전체적으로 프리미엄차 구입자의 절반 이상이 제네시스, BMW, 벤츠
셋 중에서 구입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브랜드 간의 ‘3각
경쟁’ 구도는 유지되고 있으나, 그 중 제네시스가 가장 높은
점유율(33.9%)로 상승세를 타며 원톱 체제를 굳혀가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실제로 제네시스는 최종 선택 비율에서도 벤츠(9.4대5.2)와 BMW(5.7대4.2)에
모두 경쟁우위를 유지했습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제네시스가 원톱의 입지를 굳혀가는 것은 국산 유일의
프리미엄 브랜드라는 상품성과 가성비 덕분이겠지만, 경쟁사 대표 모델의 노후화라는 반사이익을 봤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BMW와 벤츠는 각각
6~8년만에 풀체인지 5시리즈(23년 4분기)와 E클래스(24년 1분기) 새 모델을
출시해 상승세를 타고 있다”리며 “반면 제네시스는 올해 뚜렷한
신모델이 없고, 주력 모델의 신차가 ‘24년 프리미엄차 경쟁구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전 포인트”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5월 국내 자동차 기업 브랜드 평판을 조사한 결과, 기아차동차가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산 자동차 5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지난 한 달간(4월 3일~5월 3일) 국산 자동차 기업 브랜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아자동차, 현대자동차, KG모빌리티, 르노코리아, 한국지엠 순으로 분석됐습니다.
국산
자동차 기업 브랜드평판 조사에서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로 분석됐으며,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됐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한 기아자동차는 참여지수 741,636 미디어지수 1,123,277, 소통지수 1,173,077 커뮤니티지수 753,959 사회공헌지수 244,449로 집계돼 브랜드 평판지수 4,036,398로 분석됐습니다.
2위
현대자동차는 참여지수 1,173,690 미디어지수 732,715 소통지수 668,023 커뮤니티지수 749,379 사회공헌지수 219,556으로 나타나 브랜드평판지수 3,543,364로 분석됐습니다.
3위 KG모빌리티는 참여지수 239,728 미디어지수 201,855 소통지수 144,412 커뮤니티지수 239,497 사회공헌지수 49,38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74,872로 분석됐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