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매물 역대 최대치 경신에도...'강남불패' 기대감↑
▷서울 아파트 매물 8만건 넘겨…집계 이래 최대치
▷서울 강남구, 정부 규제 완화 등으로 긍정적 상승 기대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수도권 아파트 매물이 27만건을 넘기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최근 아파트 급매가 소진되고 매물이 다시 적체되면서 다시 수치가 늘어난 탓입니다.
18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 매매 물건은 총 27만3230건으로 27만건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아실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21년 3월 1일 이후 역대 최고치입니다.
서울 아파트 매물은 지난 6일 8만149건으로 집계 이래 처음으로 8만건을 넘어서더니, 지난 14일에는 8만3440건까지 치솟았습니다. 인천도 지난 14일 기준 3만5788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또 수도권에서 매물 수가 가장 많은 경기는 지난 12일 15만1022건으로 15만건을 넘어선 이후에도 매물이 계속 늘어나더니 지난 14일 15만4002건까지 불어났습니다.
업계 관계자는"최근 수도권에서 아파트 거래가 다소 늘어나면서 상승 거래도 일부 나타나고 있지만, 급매들이 소진된 이후 여전히 매매수요는 올라오지 않고 있어 다시 매물이 쌓이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를 중심으로 서울 강남구의 경우 정부 규제 완화와 주택 수요 등 요인으로 긍정적 상승 기대감이 유지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4 KB 부동산 보고서'에 따르면,강남구는 거래 침체 현상은 피할 수 없었지만 가격 하락폭은 상대적으로 작았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 압구정동 신현대아파트 30평대 매매가격은 2023년초 30억원 중반대였으나 신속통합기획 추진과 재건축 설계사 선정 등으로 최고 44억원까지 상승했다. 이후 호가가 소폭 하락했으나, 하락세가 지속되지 않았습니다.
KB경영연구소는 "강남구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매매가격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당초 우려됐던 부동산 경착륙 가능성이 줄어들고, 거시상황 영향을 적게 받아 주택시장 기대 심리가 존재하기 때문"이라며 "매매거래 위축에도 주택 매수세가 소폭 회복되며 강남구 등 주요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