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엔터사 하이브...엇갈린 목표주가
▷2023년 매출 2조1781억, 영업이익 2958억
▷하나증권 "주가 수준 높아"VS교보증권 "분기 최대 실적"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국내 엔터테인먼트 하이브가 전날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증권업계의 목표주가가 엇갈렸습니다.
27일 공시에 따르면 하이브는 2023년 연결 기준 매출액 2조1781억원, 영업이익 2958억원을 각각 기록했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해 매출은 22.6%, 영업이익은 24.9% 성장한 수치고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입니다. 지난 3개년 연평균 성장률(CAGR)은 매출 31.7%, 영업이익 24.7%입니다.
하나증권은 하이브의 주가 수준이 다소 높다는 분석에서 목표주가를 내렸습니다.
이기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실적 전망은 그대로이나 앨범 성장 둔화에 따른 산업의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하락으로 목표주가를 조정했다"며 기존 34만5000원에서 31만5000원으로 내려잡았습니다.
이 연구원은 "앨범의 경우 중국 공구 감소와 팬덤 간의 경쟁 둔화에도 불구하고 스트리밍 매출 증가나 앨범 구매자 수가 증가하는 등 팬덤 확대 흐름은 상당히 견고하다"며 "연간으로 앨범 매출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스트리밍 매출 증가로 음원 매출도 다시 한번 사상 최대가 전망된다"고 예상했습니다.
그러면서 "위버스의 여러 지표들이 여전히 견조하게 성장하고 있고 '별이 되어라2' 퍼블리싱 등 게임 부문에서의 성과들이 시작되면서 올 상반기까지 부재한 BTS의 공백에도 연간 3500억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된다"며 "내년 하반기 BTS 완전체를 가정한 영업이익은 약 5000억원 내외"라고 내다봤습니다.
반면 교보증권은 하이브 에 대한 목표주가를 31만5000원으로 유지했습니다.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는 등 하이브가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이유에서입니다.
박성국 교보증권 연구원은 "역대 최대 분기 판매량에 따른 앨범 매출 호조, BTS 관련 영상 콘텐츠 발매로 인한 콘텐츠 매출 호조가 시장 예상치 대비 부진했던 MD매출을 상쇄했다"며 "세븐틴 583만장, BTS 303만장, TXT 275만장, 엔하이픈 206만장 등 합산 약 1408만장 반영돼 2762억원의 앨범 매출을 기록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르세라핌은 앨범 초동 역성장에도 불구, 스포티파이 미국 일간 피크 스트리밍은 'Perfect Night' 38만4000회 대비 39.3% 성장했고 추이 지속 시 르세라핌 최초 빌보드 HOT 100 진입 가능한 상황"이라며 "올해 영업이익은 3407억원으로 전망된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