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BHC 가격인상 발표에 일제히 비판 성명낸 소비자단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연평균 영업이익률 등을 볼 때 타당하지 않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 "잦은 인상 불매운동 불러올 수 있어"

입력 : 2024.01.04 17:14 수정 : 2024.01.04 17:15
BHC 가격인상 발표에 일제히 비판 성명낸 소비자단체 출처=bhc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소비자단체가 치킨 프랜차이즈 BHC가 지난달 말 85개 제품 가격을 최대 3천원 인상한 데 대해 유감을 표했습니다.

 

4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이하 협의회)에 따르면 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원가 부담 때문에 가격을 인상했다는 bhc 주장은 타당하지 않다"며 연평균 영업이익률 등을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협의회는 "bhc의 2018∼2022년 5년간 연평균 영업이익률은 30.1%로 다른 브랜드와 업종 대비 유난히 높다"며 "2018년 대비 2022년의 매출원가 상승률은 5.7%이지만, 순이익률은 31.8%나 높아졌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bhc는 소비자가격 인상이 '가맹점 수익'을 위한 결정이라고 했으나 가맹점에 공급하는 원부자재 가격을 평균 8.8% 인상했다"며 "이는 가맹점에 원부자재 가격 인상과 매출 부담이라는 이중 부담을 주면서 본사 이익만 챙기려는 의심스러운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협의회는 또 bhc를 포함해 교촌치킨, BBQ 등 3대 치킨 프랜차이즈의 프라이드치킨 가격이 2만원으로 동일하고, 대다수 메뉴 가격이 비슷하다며 '가격 경쟁'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치킨 외식 물가는 전년과 비교해 2022년에 9.4%, 작년에 5.1% 각각 상승했고 최근 소비자들은 '가성비 치킨'을 찾아 편의점과 대형마트를 찾는다고 강조했습니다.

 

협의회는 "bhc가 실제로 가맹점 수익을 위한다면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가격을 인하하는 것이 더 합리적 결정"이라며 bhc에 가격 인상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한편 소비자공익네트워크도 보도자료를 통해 프랜차이즈의 잦은 가격 인상을 비판했습니다. 이 단체는 "최근 3년간 상위 6개 치킨 프랜차이즈 가격 인상 시기를 조사한 결과, 1.8회로 나타났다"며 "잦은 인상과 높은 인상률은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켜 불매까지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실제 소비자공익네트워크에 따르면, 프랜차이즈 치킨 가운데 네네치킨이 3년간 3회, 교촌치킨과 굽네치킨, BHC는 3년간 2회, 처갓집양념치킨과 비비큐가 3년간 1회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