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로 떠오른 빈대 확산...정부 대응책은?
▷전날까지 전국 빈대 의심신고 30여건
▷국토부, 버스 등 대중교통 시설별로 방제조치 나서
▷원희룡 "대규모 확산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최근 빈대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정부가 대중교통 시설에 대한 방역·방제 조치를 실시합니다. '빈대 확산 방지 정부합동 대응회의'의 후속조치입니다.
8일 빈대정부합동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까지 전국 17개 시·도 등에 접수된 빈대 의심 신고는 30여건으로, 지난 2014년부터 10년간 질병관리청에 접수된 빈대 신고(9건)를 압도했습니다.
이달 5일 기준 서울시 각 지자체와 지자체 보건소에 들어온 빈대 발견·의심 신고 건수만 17건에 달하고, 정부 민원안내 전화인 '국민콜 110'을 통해 들어온 서울지역 빈대 의심 신고도 5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10월부터 11월 6일까지 국민신문고를 통해 질병청에 접수된 빈대 의심 신고도 총 11건입니다.
국토부는 이용률이 높은 버스·철도·항공 등 대중교통 시설별로 주간단위 계획을 수립한 뒤, 각 시설 특성에 맞는 방역·방제조치를 시행하겠다고 했습니다.
철도 역사의 경우 그간 주 1회 실시하던 역사 청소에 더해 지난 6일부터 주2회 방제소독을 추가로 실시하고 있습니다.일반·고속 열차 내 시설(의자·선반·테이블 등)에는 진공·고온 스팀 청소 및 질병관리청 지정 약품을 활용한 방제 소독을 매일 시행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들어오는 빈대 등 해충의 국내 유입 방지를 위해 공항 내 모니터링 키트를 설치하고 일일시설점검 등 모니터링 시스템도 마련했습니다. 공항 입국장, 환승라운지 등 주요 구역 내 특별 예방소독을 월 1회에서 주 1회로 강화할 예정입니다.
항공기에 대해서는 기존의 일반 해충 방제에 빈대 방제 조치도 추가되도록 민간 항공사에도 협조를 요청할 계획입니다.
터미널시설과 버스·택시는 청결 상태를 상시 확인하는 한편, 지자체와 관련 업계·조합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방제활동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했습니다.
고속도로 휴게소는 오는 9일~20일 수유실과 화물차 라운지 위주로 일제방제 및 긴급점검에 들어갑니다. 21일부터는 일일점검 및 상시모니터링 체계로 전환됩니다.
원희룡 국토부장관은 "국민들께서 안심하고 대중교통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사, 공단 등 유관기관에 철저한 방역·방제를 지시했다"며 "국토부는 대중교통시설을 매개로 빈대가 대규모 확산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