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으로만 '이차전지', '로봇', 'AI' 등... 사업 추진하지 않은 상장사 55% 이상
▷ 7대 테마업종 사업목적에 추가한 회사 중 55%가 추진내역 없어
▷ 이들 중 대부분이 상대적으로 재무 안정성 낮아
▷ 금융감독원, 투자자 유의 당부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절반 이상의 국내 상장 기업들이 메타버스, 이차전지, 인공지능 등의 주요 신사업을 ‘사업목적’으로 추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사업을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대부분의 기업들이 증시에서 주요 이슈로 떠오른 7개 테마업종, △메타버스 △가상화폐 및 NFT △이차전지 △인공지능 △로봇 △신재생에너지 △코로나 부문의 ‘이름만’ 빌린 겁니다. 유망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통해 주가를 방어하거나 끌어올린 후, 실제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은 유명무실(有名無實)한 상황이 나타난 셈입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3년간 정관에 사업목적을 추가/삭제/수정한 내역이 있는 상장사 1,047곳의 반기보고서를 중간점검 했습니다. 해당 기업들이 신사업을 얼마나 잘 추진하고 있는지, 공시에 미흡한 부분은 없는지 확인한 건데요.
그 결과, 금융감독원이 지정한 24개의 세부 점검항목을 모두 준수한 회사는 516사(49%)로 드러났으며, 나머지 531사(51%)는 최소 1개 이상의 미흡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지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7개 테마업종을 사업목적에 추가한 회사 중 129사(55%)는 추진내역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업 추진 현황이 존재하는 회사는 104사(45%), 추가한 다수의 사업 모두 추진 현황이 있는 회사는 83사(36%)에 그쳤습니다. 더욱이 추가한 테마업종이 많으면 많을수록, 사업 추진 비율은 급감했습니다.
메타버스와 이차전지, 인공지능, 신재생에너지 등 7개 테마업종은 아시다시피 정부가 많은 신경을 쏟고 있는 분야입니다. 31일 열린 제4회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에선 인공지능과 첨단바이오의 전략로드맵을 제시함으로써 상세한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학습 데이터와 자원 소모량을 50% 이상 경량화, 인공일반지능(AGI) 원천기술 확보 등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투자/지원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인데요.
그러나 129곳의 상장사들은 이러한 ‘신사업’의 이름을 증시의 수단으로서 이용했습니다.
정부가 주목하는 산업을 추진한다는 뜻을 밝히기만 해도, 상장사로서는 증권시장의 주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떨어지는 주가를 방어하거나, 주가를 끌어올릴 수도 있는데요. 더욱이, 금융감독원 조사에 따르면 해당 사업 추진 현황이 존재하는 104사 중 47사(45%)는 관련된 매출이 발생 중에 있으나 유의미한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곳은 4사(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업종목에 추가한 신사업을 실제로 추진하여, 좋은 성과를 어둔 곳이 그만큼 적다는 이야기입니다.
사업 추진현황이 존재하지 않는 129개사는 상대적으로 재무/경영 안정성이 낮으며 내부통제 등 문제점이 지속 노출된 기업이 대부분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중 최근 3년간 연속으로 영업손실을 겪은 기업이 무려 43%, 자본잠식이 12%로 열악한 재무상황을 겪고 있었으며, 회사의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전/후 과정에서 해당 사업 목적이 추가된 경우도 36%로 빈번했습니다.
횡령/배임, 감사보고서 미제출 등으로 인해 상장폐지 위기에 몰린 기업이 22%, 공시 지연 및 누락 등으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사례도 30%에 달했습니다.
기업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니, 신사업
사업 추진이 쉽지 않은 건데요. 문제는 이 과정에서 부정한 이익을 취하려는 세력이 있다는 점입니다. 신사업 발표 직후 주가가 급등하는 상황을 이용해 최대주주 관련자가 주식을 매도하고, 사업 추진 계획을 철회하는 등 부정거래 혐의 기업이 금융감독원에 의해 적발된 바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투자자 유의를 당부했습니다. “최근 신사업을 사업목적으로 추가한 회사의 상당수가 역량 부족, 사업 타당성 결여 등으로 추진실적이 없거나 부진한 상황”이라며, “향후 제출되는 정기보고서를 통해 실제 사업 추진 여부 및 경과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향후 신사업 추진 관련 불공정 거래 혐의를 저지른 조목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를 실시한 뒤, 혐의가 적발되면 엄중 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