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으로만 '이차전지', '로봇', 'AI' 등... 사업 추진하지 않은 상장사 55% 이상
▷ 7대 테마업종 사업목적에 추가한 회사 중 55%가 추진내역 없어
▷ 이들 중 대부분이 상대적으로 재무 안정성 낮아
▷ 금융감독원, 투자자 유의 당부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절반 이상의 국내 상장 기업들이 메타버스, 이차전지, 인공지능 등의 주요 신사업을 ‘사업목적’으로 추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사업을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대부분의 기업들이 증시에서 주요 이슈로 떠오른 7개 테마업종, △메타버스 △가상화폐 및 NFT △이차전지 △인공지능 △로봇 △신재생에너지 △코로나 부문의 ‘이름만’ 빌린 겁니다. 유망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통해 주가를 방어하거나 끌어올린 후, 실제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은 유명무실(有名無實)한 상황이 나타난 셈입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3년간 정관에 사업목적을 추가/삭제/수정한 내역이 있는 상장사 1,047곳의 반기보고서를 중간점검 했습니다. 해당 기업들이 신사업을 얼마나 잘 추진하고 있는지, 공시에 미흡한 부분은 없는지 확인한 건데요.
그 결과, 금융감독원이 지정한 24개의 세부 점검항목을 모두 준수한 회사는 516사(49%)로 드러났으며, 나머지 531사(51%)는 최소 1개 이상의 미흡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지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7개 테마업종을 사업목적에 추가한 회사 중 129사(55%)는 추진내역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업 추진 현황이 존재하는 회사는 104사(45%), 추가한 다수의 사업 모두 추진 현황이 있는 회사는 83사(36%)에 그쳤습니다. 더욱이 추가한 테마업종이 많으면 많을수록, 사업 추진 비율은 급감했습니다.
메타버스와 이차전지, 인공지능, 신재생에너지 등 7개 테마업종은 아시다시피 정부가 많은 신경을 쏟고 있는 분야입니다. 31일 열린 제4회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에선 인공지능과 첨단바이오의 전략로드맵을 제시함으로써 상세한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학습 데이터와 자원 소모량을 50% 이상 경량화, 인공일반지능(AGI) 원천기술 확보 등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투자/지원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인데요.
그러나 129곳의 상장사들은 이러한 ‘신사업’의 이름을 증시의 수단으로서 이용했습니다.
정부가 주목하는 산업을 추진한다는 뜻을 밝히기만 해도, 상장사로서는 증권시장의 주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떨어지는 주가를 방어하거나, 주가를 끌어올릴 수도 있는데요. 더욱이, 금융감독원 조사에 따르면 해당 사업 추진 현황이 존재하는 104사 중 47사(45%)는 관련된 매출이 발생 중에 있으나 유의미한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곳은 4사(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업종목에 추가한 신사업을 실제로 추진하여, 좋은 성과를 어둔 곳이 그만큼 적다는 이야기입니다.
사업 추진현황이 존재하지 않는 129개사는 상대적으로 재무/경영 안정성이 낮으며 내부통제 등 문제점이 지속 노출된 기업이 대부분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중 최근 3년간 연속으로 영업손실을 겪은 기업이 무려 43%, 자본잠식이 12%로 열악한 재무상황을 겪고 있었으며, 회사의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전/후 과정에서 해당 사업 목적이 추가된 경우도 36%로 빈번했습니다.
횡령/배임, 감사보고서 미제출 등으로 인해 상장폐지 위기에 몰린 기업이 22%, 공시 지연 및 누락 등으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사례도 30%에 달했습니다.
기업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니, 신사업
사업 추진이 쉽지 않은 건데요. 문제는 이 과정에서 부정한 이익을 취하려는 세력이 있다는 점입니다. 신사업 발표 직후 주가가 급등하는 상황을 이용해 최대주주 관련자가 주식을 매도하고, 사업 추진 계획을 철회하는 등 부정거래 혐의 기업이 금융감독원에 의해 적발된 바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투자자 유의를 당부했습니다. “최근 신사업을 사업목적으로 추가한 회사의 상당수가 역량 부족, 사업 타당성 결여 등으로 추진실적이 없거나 부진한 상황”이라며, “향후 제출되는 정기보고서를 통해 실제 사업 추진 여부 및 경과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향후 신사업 추진 관련 불공정 거래 혐의를 저지른 조목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를 실시한 뒤, 혐의가 적발되면 엄중 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