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KES 2023] 'VR 자기 개발 어플', '4족 보행 로봇' 등 다양한 제품 선보인 대학생들

▷ 한국전자전 2023, 동양미래대학교, 광운대학교, 동서울대학교 참가
▷ 'VR 자기개발 어플'부터 '퓨어 그래핀 실리콘 배터리' 등 선보여

입력 : 2023.10.25 16:07 수정 : 2023.10.25 22:13
[KES 2023] 'VR 자기 개발 어플', '4족 보행 로봇' 등 다양한 제품 선보인 대학생들 한국전자전 2023 (출처 = 위즈경제)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가 주관하는 한국전자전(KES) 2023에 많은 관심이 쏠렸습니다.

 

지난 24일부터 오는 27일까지 열리는 한국전자전은 국내 최대 규모의 전자IT 융합제품 전시회로, 우리나라는 물론 미국과 일본, 독일, 중국 등 10개국 480개사(1,200부스)가 참여했습니다.

 

모빌리티와 AI, IoT,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각종 혁신기술은 물론, ‘NEXT’(Now Experience Transformation of Technology)이라는 전시주제에 걸맞은 다양한 체험행사가 마련되었는데요.

 

삼성전자, LG전자, KT 등 국내 유명 IT 대기업들이 한국전자전에 대거 참여한 만큼 많은 관람객들이 해당 기업들이 마련한 부스를 찾았습니다만, 다양한 대학교에서 마련한 부스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번 한국전자전에는 동양미래대학교, 광운대학교, 동서울대학교 세 곳이 참여했는데요.

 

 

동서울대학교의 캠퍼스 배달 자율주행차

 

 

특히, 가장 큰 부스를 마련한 동양미래대학교에서는 제41회 졸업작품전시회를 열었습니다.

 

기계공학부, 로봇자동화공학부,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컴퓨터공학부, 생활환경공학부가 참가했는데요.

 

동양미래대학교 컴퓨터공학부 MARS‘Grow Verse’라는 VR을 이용한 게임 기반 자기 개발 어플을 선보였습니다.

 

 

동양미래대학교 컴퓨터공학부 MARS의 Grow Verse

 

 

사용자는 VR 체험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아바타를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선 특정 학습 목표를 설정해야 합니다.

 

학습 목표를 설정하면, 그에 걸맞은 스킬트리를 제공하고, 퀘스트를 하나씩 돌파함으로써 보상을 손에 얻을 수 있는데요.

 

기자가 직접 체험해 본 결과, VR을 통한 퀴즈 시스템의 완성도와 캐릭터의 비주얼이 눈에 띄었습니다. 해당 시스템을 개발한 동양미래대학교의 학생은 친구와의 소통도 가능하다, 다른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메세지를 보낼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요.

 

그는 개발을 완료하기까지 약 3개월이 걸렸는데, 그 동안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Grow Verse’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동양미래대학교 로봇공학부 SMART의 4족 보행 로봇

 

 

동양미래대학교 로봇자동화공학부 SMART에서는 응급 상황 발생 시에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4족 보행 로봇 시스템을 선보였습니다.저출산 고령화라는 사회상을 반영해 고령층 건강관리, 안전 등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로봇인데요.

 

해당 로봇의 가장 큰 특징은 쓰러짐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겁니다. 만약 고령층이 건강 상의 이유로 바닥에 쓰러졌을 경우, 로봇이 이를 인식하여 다른 사람에게 연락할 수 있는데요.

 

4족 보행 로봇을 개발한 동아리의 관계자는 해당 로봇에 챗GPT의 시스템을 적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학습하고 있고, 사용자와 소통도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구상부터 개발까지 약 1년의 기간이 소요되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광운대학교에서도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였습니다.

 

그 중 하나가 퓨어 그래핀 실리콘 배터리, ‘그래핀이라는 탄소의 동소체로 코팅되고 상호 연결된 나노실리콘 입자를 개발하여, 이를 배터리음극재에 적용하는 기술입니다.

 

기존 음극소재 대비 4배 이상 높은 용량을 구현하여 배터리의 무게와 가격을 줄일 수 있고, 안정성과 충/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강점이 있는데요.

 

해당 제품을 개발한 심준섭 광운대학교 전자융합공학과 교수는 일반 퓨어 실리콘에 비해 그래핀 실리콘이 1,600mAh/g의 긴 용량을 자랑한다, 상용화도 멀지 않았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외에도 광운대는 게임과 흐름기반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코딩교육 시스템’, ‘라이프케어 트윈 시스템을 위한 AI 스마트미러등의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

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

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

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

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