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 '반도체' 회복세 돋보여
▷ 9월 반도체 생산·수출 뚜렷한 회복세 보여... 자동차는 다소 부진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도 개선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9월 산업활동지표인 생산, 소비, 투자가 모두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통계청의 2023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산업 생산이 전월대비 1.1%, 소매판매가 0.2%, 설비투자가 8.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제조업 생산 및 수출 부문에서의 반도체가 돋보입니다. 지난해부터 오랜 부진을 겪던 반도체는 지난 8월부터 생산과 수출이 점차 회복하는 모양새입니다. 반도체 생산은 9월 기준 전년동월대비 23.7%, 출하 35.8%, 수출이 40.9% 증가했습니다.
9월 기준 우리나라의 전산업 생산은 전월대비 1.1%, 전년동월대비 2.8% 늘어났습니다. 광공업, 제조업, 공공행정, 건설업에서 모두 증가세를 보였는데요. 제조업의 경우, 그간 톡톡한 효자 노릇을 해왔던 자동차가 소폭 부진했습니다.
자동차 생산은 전월대비 7.5% 줄어들었으며, 출하와 수출 역시 각각 7.9%, 11.1% 감소했습니다. 반면, 반도체는 생산과 출하, 수출이 모두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수출이 전월대비 69.4% 늘어나면서 수출 품목들 중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오랜 기간 어려움을 겪었던 반도체의 성적이 좋아지고 있다는 사실은 기업들의 실적에서 드러납니다.
삼성전자가 발표한 2023년 3분기 실적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3분기 동안 매출 67.4조 원, 영업이익 2.43조 원의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이 중, 반도체를 포함한 DS(Device Solutions) 부문의 매출이 16.44조 원, 영업이익은 -3.75조 원으로 나타났는데요. HBM(High Bandwidth Memory) 등 고부가 메모리반도체에 대한 높은 수요 등에 힘입어 지난 분기보다 적자가 줄어들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는 “메모리는 고객사 재고 수준이 대체적으로 정상화된 가운데 메모리 시장 회복 추세가 가속화되고 전분기 대비 가격 상승폭이 확대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밝혔습니다.
시스템 메모리(LSI) 역시 수요 회복세가
관측되고 있다며, 주요 모바일 고객사로 신제품 부품 공급 규모가 증가하면서 실적도 큰 폭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덧붙였습니다.
삼성전자 曰 “메모리는
재고 건전화 및 고용량화 추세 등으로 수요 회복이 전망되는 가운데, 첨단공정 제품 판매를 적극 확대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지난 3분기 매출이 9조 662억 원, 영업이익의 경우 -1조 7920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습니다만, 지난 분기보다 적자 규모가 축소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SK하이닉스는 “고성능 메모리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 수요가 증가하면서 회사 경영실적은 지난 1분기를 저점으로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며, “특히 대표적인 AI용 메모리인 HBM3, 고용량 DDR5와 함께 고성능 모바일 D램 등 주력제품들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전분기 매출은 24% 증가하고 영업손실은 38%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AI를 비롯한 고성능 반도체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SK하이닉스의 실적 역시 개선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SK하이닉스 曰 “무엇보다 올해 1분기 적자로 돌아섰던 D램이 2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한 데 의미를 두고 있다”
한편, 반도체를 포함해 우리나라 산업 전반에서 활력이 감도는 상황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긍정적인 평가를 남겼습니다.
31일 기획재정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로 확인된 3분기 경기 회복흐름에 이어, 월별 산업활동지표로도 7월 > 8월 > 9월로 갈수록 회복세가 확대되면서 10월 수출 플러스 전환 전망과 함께 4분기에도 개선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살아나면, 오랜 기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수출도 힘을 얻을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다만,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의 불확실성, 국제유가의 향방 등 불안요인이 남아있어 방심하기 어렵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