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 '반도체' 회복세 돋보여
▷ 9월 반도체 생산·수출 뚜렷한 회복세 보여... 자동차는 다소 부진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도 개선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9월 산업활동지표인 생산, 소비, 투자가 모두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통계청의 2023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산업 생산이 전월대비 1.1%, 소매판매가 0.2%, 설비투자가 8.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제조업 생산 및 수출 부문에서의 반도체가 돋보입니다. 지난해부터 오랜 부진을 겪던 반도체는 지난 8월부터 생산과 수출이 점차 회복하는 모양새입니다. 반도체 생산은 9월 기준 전년동월대비 23.7%, 출하 35.8%, 수출이 40.9% 증가했습니다.
9월 기준 우리나라의 전산업 생산은 전월대비 1.1%, 전년동월대비 2.8% 늘어났습니다. 광공업, 제조업, 공공행정, 건설업에서 모두 증가세를 보였는데요. 제조업의 경우, 그간 톡톡한 효자 노릇을 해왔던 자동차가 소폭 부진했습니다.
자동차 생산은 전월대비 7.5% 줄어들었으며, 출하와 수출 역시 각각 7.9%, 11.1% 감소했습니다. 반면, 반도체는 생산과 출하, 수출이 모두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수출이 전월대비 69.4% 늘어나면서 수출 품목들 중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오랜 기간 어려움을 겪었던 반도체의 성적이 좋아지고 있다는 사실은 기업들의 실적에서 드러납니다.
삼성전자가 발표한 2023년 3분기 실적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3분기 동안 매출 67.4조 원, 영업이익 2.43조 원의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이 중, 반도체를 포함한 DS(Device Solutions) 부문의 매출이 16.44조 원, 영업이익은 -3.75조 원으로 나타났는데요. HBM(High Bandwidth Memory) 등 고부가 메모리반도체에 대한 높은 수요 등에 힘입어 지난 분기보다 적자가 줄어들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는 “메모리는 고객사 재고 수준이 대체적으로 정상화된 가운데 메모리 시장 회복 추세가 가속화되고 전분기 대비 가격 상승폭이 확대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밝혔습니다.
시스템 메모리(LSI) 역시 수요 회복세가
관측되고 있다며, 주요 모바일 고객사로 신제품 부품 공급 규모가 증가하면서 실적도 큰 폭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덧붙였습니다.
삼성전자 曰 “메모리는
재고 건전화 및 고용량화 추세 등으로 수요 회복이 전망되는 가운데, 첨단공정 제품 판매를 적극 확대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지난 3분기 매출이 9조 662억 원, 영업이익의 경우 -1조 7920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습니다만, 지난 분기보다 적자 규모가 축소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SK하이닉스는 “고성능 메모리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 수요가 증가하면서 회사 경영실적은 지난 1분기를 저점으로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며, “특히 대표적인 AI용 메모리인 HBM3, 고용량 DDR5와 함께 고성능 모바일 D램 등 주력제품들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전분기 매출은 24% 증가하고 영업손실은 38%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AI를 비롯한 고성능 반도체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SK하이닉스의 실적 역시 개선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SK하이닉스 曰 “무엇보다 올해 1분기 적자로 돌아섰던 D램이 2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한 데 의미를 두고 있다”
한편, 반도체를 포함해 우리나라 산업 전반에서 활력이 감도는 상황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긍정적인 평가를 남겼습니다.
31일 기획재정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로 확인된 3분기 경기 회복흐름에 이어, 월별 산업활동지표로도 7월 > 8월 > 9월로 갈수록 회복세가 확대되면서 10월 수출 플러스 전환 전망과 함께 4분기에도 개선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살아나면, 오랜 기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수출도 힘을 얻을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다만,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의 불확실성, 국제유가의 향방 등 불안요인이 남아있어 방심하기 어렵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