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미상 수상한 오징어게임, 감독상·남우주연상 쾌거
▷ 오징어게임 이정재/황동혁, 에미상 시상식에서 남우주연상/감독상 수상
▷ 非 영어권 국가 드라마가 에미상 수상한 건 이번이 처음

#오징어게임, 에미상 감독상과 남우주연상 수상
오징어게임이 K-콘텐츠의 힘을 다시 한번 과시했습니다.
미국 현지시각으로 12일 열린 제74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에서 오징어게임의 주연 배우 이정재가 드라마 시리즈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습니다.
함께 후보에 오른 ‘세브란스: 단절’의 애덤 스콧, ‘베터 콜 사울’의 밥 오든커크, ‘석세션’의 브라이언 콕스/제레미 스트롱 등 쟁쟁한 배우들을 제치고 남우주연상의 영예를 안았는데요.
이정재 曰 “대한민국에서 보고 계실 국민 여러분, 친구, 가족 그리고 소중한 팬들과 이 기쁨을 나누겠다”
뿐만 아니라, 오징어게임을 제작한 황동혁 감독도 드라마 시리즈 감독상을 수상했습니다.
감독상 역시 ‘세브란스: 단절’의 벤 스틸러, ‘오자크’의 제이슨 베이트먼, ‘석세션’의 마크 미로드 등 국내외에서 많은 인기를 얻은 작품들의 감독들이 후보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황동혁 감독이 이들 가운데 1등을 차지한 셈인데요.

황동혁 감독 曰 “이 상이 제 마지막 에미상이 아니길 바란다. 시즌2로 돌아오겠다”
영어권이 아닌 국가의 드라마가 에미상을 수상한 건 오징어게임이 처음입니다.
2011년 당시 드라마추노에서 열연한 배우 장혁과 개그콘서트의 코너 달인이 후보에 오른 일이 있었지만, 수상에는 실패했는데요.
그만큼 오징어게임 주역들의 에미상 수상 소식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징어게임은 총 6개 부문, 감독상과 작품상, 남우주연상, 여우조연상, 남우조연상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아쉽게도 작품상과 남우조연상(박해수/오영수), 여우조연상(정호연)의 트로피는 안지 못했습니다.
에미상 최고의 영예로 손꼽히는 작품상은 ‘석세션’에, 남우조연상과 여우조연상은 각각 ‘석세션’의 매슈 맥퍼디언, ‘오자크’의
줄리아 가너’가 수상했습니다.
에미상은 뛰어난 작품의 디자인, 연출, 음악 등 기타 부문에서 공헌한 스태프에게도 상을 수여합니다.
오징어게임 역시 여기서 많은 상을 받았는데요. 지난 4일 열린 크리에이티브 아츠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에서 배우 이유미가 여우게스트상을 탄 것을 시작으로, 시각효과상, 스턴트퍼포먼스상, 프로덕션디자인상까지 4개의 상을 오징어게임이 휩쓸었습니다.
참고로, 이유미가 수상한 ‘여우게스트상’은 작품의 특정 회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배우에게 수여됩니다. 조연으로 보기 어려운 단역이 받을 수 있는 상으로, 한국 배우가 에미상에서 여우게스트상을 받은 것도 이번이 처음입니다.
#EGOT 중 E
오징어게임의 수상 소식이 이토록 화제가 되는 이유는, 에미상 그 자체의 권위 때문입니다.
미국 대중문화계에는 4대 수상식이 있습니다. TV부문의 에미상(Emmy), 음악 부문의 그래미상(Grammy), 영화 부문의 오스카상(Oscar), 연극의 토니상(Tony)으로, 이 네 가지의 상을 모두 수상한 사람을 EGOT라고 부릅니다.
가장 최근엔 제니퍼 허드슨이 EGOT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이 중 에미상은 TV에 방영되는 드라마, 예능 등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수여하는 최고의 상입니다.
지난 1949년부터
‘텔레비전 아트&사이언스 아카데미(Academy of Television Arts & Sciences)’에서 통신 예술과 과학의 발전에
이바지한 작품에 에미상을 수여하는데요. 이 수상식이 방송계 최대의 행사란 이름이 붙을 정도로 힘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주최하는 시상식의 특성상 에미상은 비교적 서양의 문화에 초점을 싣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영어권이 아닌 우리나라의 오징어게임이 에미상을 거머쥐었다는
건 꽤나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