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1940년대생이 가장 빈곤한 삶 살아"... 기초연금 개선 필요성 제기

▷ 유례적으로 높은 노인빈곤율... 1940년대생이 가장 심각
▷ 세대간 소득격차와 노후보장제도의 차이 탓
▷ 이승희 KDI 연구위원, "기초연금, 취약계층에 선별적으로 지원해야"

입력 : 2023.09.26 10:30 수정 : 2023.09.26 10:42
"1940년대생이 가장 빈곤한 삶 살아"... 기초연금 개선 필요성 제기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은 OECD 기준 세계 최고 수준인 가운데, 고령층의 나이가 많을수록 빈곤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승희 KDI 연구위원은 소득과 자산으로 진단한 노인빈곤과 정책 방향에서, “2018년 기준 OECD 평균 노인빈곤율은 13.1%인 데 반해, 우리나라는 43.4%OECD 회원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40년대생과 그 이전 출생 세대에서 빈곤율이 높게 나타나며, 출생 세대 간 노인빈곤율 차이가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1950년대를 기준으로 노인빈곤율이 현격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2021년을 기준으로 40년대생 및 그 이전 출생 세대의 노인빈곤율은 40% 이상인데 50년대생의 노인빈곤율은 30% 이하입니다.

 

1950년대 이전에 출생한 현 70~80세가 60~70세보다 더욱 빈곤한 삶을 살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러한 경향은 세대 내부적으로 봐도 두드러지게 드러납니다. 이 연구위원은 “40년대 후반 출생 세대의 72~76세 노인빈곤율은 44.5%인 반면, 40년대 전반 출생 세대의 동일 나이대 노인빈곤율은 51.3%”라며, 더 젊은 세대의 동일 나이대 빈곤 문제가 이전 세대의 빈곤 문제보다 덜하다는 뜻이라고 전했습니다. 나이가 젊을수록 상대적으로 풍족한 삶을 살고 있는 것으로, 이는 모든 세대에서 나타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1940년대 출생 세대는 6.25전쟁 등 한국사의 굵직한 사건을 거친 산업화 세대입니다. 현대사에서 가장 어려운 시기를 보낸 이들로, 현존하는 최고령 세대인데요.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개인의 자산은 60세를 기점으로 점차 하락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울연구원이 2021년에 발표한 데이터인사이트리포트 제5에 따르면, 2012~2020년 기준 평균 생애주기별 자산은 나이와 함께 꾸준히 증가하다가 55~59세 사이에 정점에 이르고, 은퇴연령이 60세 이후엔 하락하는 모양을 보였습니다.

 

, 나이가 들수록 자산은 줄어들고 그에 따라 빈곤 문제가 부각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최고령 세대인 1940년대의 상대적으로 높은 빈곤율에는 이유가 있는 셈입니다.

 

이 연구위원은 세대가 젊을수록 빈곤율이 줄어드는 경향이 201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전체 노인빈곤율은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2010년대 이후부터는 전체 노인 중에서 1950년대생의 비중이 꾸준히 늘어났습니다. 이들은 이전 세대보다 비교적 덜 빈곤한 세대이므로, 전체 노인빈곤율이 당연히 감소한 겁니다.

 

세대에 따라 노인빈곤율에 차이가 나는 데에는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세대간 소득격차가 벌어졌고, 각 세대가 받고 있는 노후보장체제가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이 연구위원은 “1950년 이전 출생 세대의 소득 수준이 이후 세대보다 낮고 자산 축적도 어려워, 빈곤층 비중이 높아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대표적인 노후보장체제인 국민연금의 경우 1988년에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확대되어 이전 세대일수록 가입기간이 짧고 연금 수급액이 적어 충분한 소득을 얻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선별적인 노인빈곤 완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노인빈곤 완화 정책은 기초연금입니다.

 

기초연금을 통해 고령층의 70%에게 지원을 하고 있는데, 향후 급속한 고령화가 이루어지면서 정부의 재정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초연금이 취약계층에게는 효과성이 낮다는 한계도 존재하는데요. 이 연구위원은 앞으로의 노인빈곤 완화 정책은 선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에 집중하여 이들을 더 두텁게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취약계층에 지원을 집중하기 위해서 기초연금은 재산을 고려한 소득인정액이 일정 수준 이하인 고령층에게만 지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전장연 은 사라져야 합니다 장애인 중 에서도 불쌍한 중증발달장애인 의 보금자리를 공격하여 배 를 불리려하는 일에 혈안 이 되었습니다. 같은 시대에 대한민국 사람으로 산다는게 창피하고 괴롭습다. 당신들은 그곳에서 정의(?)롭게 사시기바랍니다. 제발 귀국 하지 마세요!!!

2

서울시가 자립정책 이념에 따라 2021년 폐쇄된 김포시 거주시설 ‘향000’에서 자립한 중증장애인 55명을 추적 조사했는데, 6명이 퇴소 후 3년 안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자립한 장애인 10.9%가 사망에 이른 통계였다고 하면서, 4명은 다른 시설에 입소했고, 7명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38명은 서울시 지원 주택에서 ‘자립’하고 있는데 이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은 9명뿐이었다고. 다른 9명은 고갯짓이나 ‘네’ ‘아니오’ 정도의 말만 가능했고, 20명은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분들이었다. 장애인 자립은 죽음이다.

3

un 은 장애인들의 자립은 지제장애인, 정신장애인으로 제한한다고 했다.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이다. 최보윤, 김예지. 서미화 의원은 장애에는 여러유형이 있고,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이 있고, 자립할 수 없는 장애인ㅇ이 있다는 것을 먼저 공부하라!!

4

중증발달장애인을 죽음으로 내모는 약덕법을 철회하라

5

증증장애인시설을 존치하고 확대하라 지금도 집에서 고통받고 있는가족들 구하라 차립할대상은 자립하고 증증은 시설에서 사랑받고 케어해주는 일은 당연 하고 복지국가 로 가는길이다 탈시설 철회하라

6

증증발달장애인 시설을 업애려면 전국 병원 용양원 을 업애버려라 자폐 발달 정산지제 증증도 환자도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환자다 탈시설을외치는 자들은 우리 증증아이들을 죽이러 하는가 시설에서 잘사는것도인권이고 평등 사랑이다 탈시설화 철회 하라 시설 존치 신규 시설 늘여야 한다

7

전장연 을 해체하고 박경석을구속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