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윤 대통령, 10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경제적 효과는?

▷생산유발효과 3조 85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 1조3100억원 추정
▷윤 대통령 "국내 관광 활성화해 내수 진작 해야"

입력 : 2023.09.01 10:18 수정 : 2023.09.01 11:00
윤 대통령, 10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경제적 효과는? 출처=대통령실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인한 생산유발효과가 3조85000억원이란 조사가 나왔습니다.

 

1일 현대경제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소비지출액 1조 9900억원, 생산유발효과 3조 85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 1조3100억원, 취업유발인원 4만4700명의 경제적 효과를 추정했습니다. 

 

또 숙박업·운송서비스업·오락문화서비스업 등 4가지 경로에 소비지출 파급효과가 크게 발생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생산유발효과란 산업부분에 예산이 투입됐을때 산업간 연관 관계에 의해 각 산업부분간에 직·간접적으로 발생되는 경제적 가치를 말합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31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오는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겠다고 하면서 "국내 관광을 활성화해서 내수가 진작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에따라 오는 9월 28일부터 10월 1일까지 나흘간 이어지는 추석 연휴와 10월 3일 개천절 사이를 공휴일로 지정할 경우 총 6일간의 연휴가 생기게 됩니다.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안건은 다음 주인 9월 5일 국무총리 주재 국무회의에서 심사·의결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윤 대통령이 임시공휴일 지정에 나선 가장 큰 이유는 '내수진작'입니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2023년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0.7% 감소했습니다.

 

국내 생산, 소비, 투자가 일제히 줄며 '트리플 감소'를 보였습니다. 투자는 9% 가까이 급감하며 11년여 만에 최대 감소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모두가 웃을 수 있는 넉넉한 명절이 현재로서 우리 목표"라며 "민생 안정과 내수 활성화를 위한 윤 대통령의 총력 대응 지시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