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누이에 이어 아들까지 등판…김은경, 시부모 부양 진실공방 가속화
▷노인폄하 발언에 이어 가정사 논란까지 불거진 김은경
▷가정사 논란에, 金 시누이, 시부모 협박∙악담 VS 金 아들, 거짓 주장

지난 7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안녕하세요
민주당 혁신위원장 아들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해당 글 작성자는 자신을 김 위원장의 첫째 아들이라고 밝히면서 “아무렇지도
않게 저희 가족에게 상처를 주는 거짓말로 공격을 하셔서 정말 참담한 마음이다”라며 “제가 이렇게 공개적인 공간에 밝히고 싶지는 않았던 저의 가족사를 많이 괴롭지만 담담하게 말씀드리려 한다”고 했습니다.
그는 “인터넷에 글을 올리신 막내 고모는 할아버지, 할머니의 장례식에도 참여하지 않으신 분입니다”라며
“고모들은 부양책임은 지지 않으시더니 할아버지, 할머니가
돌아가신 이후 상속은 받아가셨지만, 저희 가족은 모두 상속을 포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남편이 운영하던 회사를 가로챘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할아버지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 저희 집이 돌아가신 아버지가 운영하던 회사를 이끌며 할아버지, 할머니를 부양하기를 원하셨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면서 작성자는 법정 대응도 예고했습니다. 그는 “거짓 선동으로 가족을 공격하는 일은 제발 멈춰주시기 바란다”라며
“거짓 주장과 명예훼손에 대하여 추후 필요한 법적 조치를 제 선에서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김 위원장은 대한노인회를 찾아 논란이 됐던 ‘노인 폄하’ 발언에 대해 사과하던 중 “남편 사별 후 시부모를 18년 동안 모셨다”는 발언을 했는데,
김 위원장의 시누이라고 밝힌 김모씨가 이를 반박했습니다.
김씨는 지난 5일 SNS 계정을
통해 “(김 위원장은) 남편이 살아 있을 때를
포함 단 한차례도 시부모를 모시고 산 적이 없고 공경심은 커녕 18년 동안 김은경에게 온갖 악담과 협박을
받으셨고 돌아가시면서도 쉬이 눈을 감지 못하셨다”고 했습니다.
그는 이어 “오빠가 죽기 직전 시아버지의 이름에서 오빠의
이름으로 전환되어 있던 사업체가 죽고 나니 곧바로 김은경의 친동생 이름으로 바뀌었다”며
“아빠는 즉시 시정을 요구하고 법에 호소했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어찌 손을 써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며 김 위원장이 시아버지가 일군 회사를 가로챘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