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원부터 22만원까지... 지역 별로 천차만별인 '참전수당'
▷ 부산에서 생활고 겪던 참전유공자... 절도로 검거
▷ 지역 별로 다른 '참전수당'... 전북이 2만 원으로 가장 낮아
▷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참전수당 차등 지급 기준 폐지해달라"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2일, 부산 금정구의 한 마트에서 물건을 훔친 80대 노인 A씨가 검거되었습니다.
그는 올해 4월부터 5월 초까지 참치캔, 젓갈, 참기름 등 생필품 8만 원 어치를 여러 번 절도했는데요. 부산진경찰서가 그에 대한 신원을 조회한 결과, 6.25전쟁에 참전한 국가유공자로 나타났습니다.
제대 이후 선원으로 30년 가까이 일을 하다가, 모아둔 돈을 생활비로 전부 사용한 후 생활고를 겪고 있던 겁니다. 부산진경찰서에는 “참전용사를 돕고 싶다”는 시민들의 글이 다수 올라왔는데요. 대부분이 참전유공자의 경제적 형편을 크게 염려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참전유공자 A씨가 받는 국가지원금은 대략 60만 원 남짓, 요즘 같은 고물가 상황 속에서 노동이 쉽지 않은 고령의 참전유공자들에게 지원이 너무 박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 보훈부가 각 광역 지방자치단체에서 참전유공자들에게 지급하고 있는 참전수당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이 중 지급액이 적은 지자체의 경우 보훈부가 적극 협상, 협력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우리나라 정부는 지난 2003년 5월부터 65게 이상의 6.25전쟁 및 월남전 참전유공자에게 ‘참전명예수당’을 지급하고 있긴 합니다. 올해 기준 한 달에 약 39만 원 수준인데요. 이와는 별도로 전국 17개 모든 광역 지방자치단체에선 자체적으로 ‘참전수당’을 추가적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그 평균 액수는 약 9.2만 원인데요.
문제는 이 참전수당이 지역 별로 다르다는 겁니다. 전북이 2만 원으로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낮았으며, 제주도는 22만 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낮은 순으로 따지면, 전북(2만 원), 전남(3만 원), 충남(3만 원), 경기(3.3만 원)였으며, 높은 순으로 봤을 때는 제주(22만 원), 세종(15만 원), 울산(14만 원), 경남(12만 원) 등의 순이었습니다.
지난해 7월 대비 참전수당을 인상한 곳은 강원도, 경북, 경기, 대전, 충북이었으며
인상액은 경북이 5만 원으로 가장 컸습니다. 또, 경기도의 경우, 1년에 한 번 40만
원을 일시에 지급하는 등 지급 형태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참전수당에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여건에 따라 참전수당을 지급하고 있긴 합니다. 게다가, 광주, 경남, 울산, 제주 4곳은 80세를
기준으로 참전수당을 차등 지급하고 있고, 경남과 경북은 어떤 전쟁에 참여했느냐에 따라 참전수당이 달랐습니다. 상대적으로 6.25참전유공자와 80세
이상 고령일 경우에 참전수당이 더 높았습니다.
국가보훈부의 추산에 따르면, 참전수당 수령자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 서울, 부산, 경북, 경남 순이었습니다. 반면, 세종, 제주, 울산, 광주, 대전 순서로 참전수당 수령자 수가 적었는데요.
한 달에 3.3만 원의 참전수당을 지급하는 경기도에는 약 5만 2천 명의 참전유공자가 거주하고 있었고, 월 15만 원의 참전수당을 지급하는 세종시에는 963명이 살고 있었습니다.
참고로, 각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 연간 참전수당 지급에 가장 많은 예산을 소요하고 있는 곳은 서울시로, 추정에 따르면 그 규모는 약 473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참전수당 지급액이 가장 적은 전북(2만 원)의 연간 참전수당 소요 예산은 약 17억 원입니다.
이렇듯, 어느 지역에 거주하고, 각
기초 지방자치단체 여건에 따라 참전유공자가 받는 참전수당이 천차만별인 상황입니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은 “지자체 참전수당이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예산으로 수행되는 자치사무인 만큼 조정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면서도, “결코 나라를 위한 헌신의 가치가 지역별로 달리 평가되어선
안 된다”며, “목숨 바쳐 싸운 영웅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지 않도록, 지자체와 적극적으로 협의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앞으로 연 1회
정기적으로 지자체 참전수당 지급현황을 배포하고, 권역별/광역별로
구분한 가이드라인을 배포하여 참전수당의 격차를 줄일 예정입니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曰 “평균보다 참전수당이 과도하게 낮은 광역단체는
참전수당을 평균 수준으로 인상하고, 참전유형별, 연령별로
달리 지급하는 지자체는 가급적 차등을 폐지해 달라”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