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용산어린이정원 안전성 논란에…정부 "문제 없다"

▷정부, "용산어린이정원의 환경 안전성은 국립중앙박물관, 용산역과 비슷한 수준"
▷야당∙환경단체 용산어린이정원 개방에 강력 반발

입력 : 2023.05.08 10:40 수정 : 2023.05.08 10:55
 


(출처=대통령실)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 4일 개방된 용산어린이정원이 중금속과 발암물질 등에 오염됐다는 주장에 정부가 “(용산어린이공원은) 일반 어린이공원만큼 깨끗하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국토부와 환경부는 지난 7일 용산어린이정원에 대해 최근 6개월 간 3차례 대기 중 오염도를 측정하는 환경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납과 구리 등 중금속과 벤젠 등 유해 물질이 주변 공원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주한 미군 기지로 사용됐던 부지를 반환받아 어린이 정원으로 조성해 시민들에게 임시 개방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부지는 토양이 기름에 오염된 정도를 나타내는 석유계 총 탄화수소, TPH가 기준치를 초과해 유해 물질 노출 우려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해당 부지는 미군 장군을 포함한 장교와 그 가족들이 수십년 전부터 함께 살았던 공간이라며, 용산어린이공원을 국민들이 더욱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는 흙을 15cm 이상 두텁게 덮어 기존 토양과 철저히 격리해 안전성을 강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다이옥신이 발견된 일부 지역은 개방에서 제외했으며, 이외 다른 유해 물질이 발견된 지역 또한 개방 동선에서 제외하거나 아스팔트산책로∙식생매트 등으로 철저하게 포장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 4일 주한미군 기지로 활용되던 부지를 반환받아 정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비한 뒤 120여 년 만에 개방했습니다.

 

이에 야당과 환경단체는 정부가 오염된 토양을 완전히 정화하기도 전에 서둘러 공원을 개방해 시민 건강을 위협한다고 비판해왔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정책위의장은 어린이날을 계기로 용산을 어린이 정원으로 개방한다는 나왔는데 놀랍고 황당하다작년에 오염 위험 때문에 2시간만 있으라는 조건으로 개방한 지역이 포함된 지역을 15cm 흙을 덮어 다시 개방하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환경단체도 용산어린이정원이 발암독성물질 등에 의해 심각하게 오염돼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색연합과 온전한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용산시민회의는 지난 4일 기자회견을 통해 환경부는 이미 수년 전 조사를 통해 해당 부지들이 토양환경보전법상 공원이 들어설 수 없을 만큼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해당 주장에 대해 정부는 철저한 안전조치와 교차검증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 용산어린이정원 전체가 심각하게 오염돼 있고 아무런 조치가 안 돼 있는 것처럼 왜곡하며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이는 사실과 전혀 다른 왜곡된 주장이라는 것을 거듭 강조한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어 정부는 이용 시간을 제한한 바 없으며 환경 안전성 분석을 통해 성인과 어린이 모두 개방 시간 내내 온종일 이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정부는 앞으로도 환경 모니터링을 시행해 안전성 유지하고, 국민들이 용산어린이정원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방침입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