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라] 서울백병원 폐원...적자누적 불가피 VS 도심 의료공백 심화
![[위고라] 서울백병원 폐원...적자누적 불가피 VS 도심 의료공백 심화](/upload/fe3b8cd346e844e2be6fa43bf600395b.jpg)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서울 도심에 위치한 서울백병원의 폐원이 결정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폐원을 결정한 인제학원 측은 극심한 경영난을 이유로 폐원이 어쩔 수 없다는 반면 서울백병원 임직원과 이 병원 노조가 속한 보건의료노조는 일방적 폐원을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21일 의료계에 따르면 학교법인 인제학원은 전날 오후 3시 서울백병원 건물에서 이사회를 열고 경영정상화 태스크 포스팀(TFT)에서 상정한 '서울 백병원 폐원안'을 의결했습니다. 이로써 서울백병원은 1941년 '백인제외과병원'이라는 이름으로 문을 연 뒤 82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습니다. 이사회가 폐원안을 의결하면서 백병원은 오는 8월 말 문을 닫을 전망입니다.
인제학원 측은 20년 간 누적 적자만 1745억 원에 달해 폐원이 불가피 하다는 입장입니다.실제 서울백병원은 2000년대 들어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려왔습니다. 2004년 의료수익이 73억원 적자로 전환된 이래 지난해까지 누적 적자가 1745억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인제학원 측 관계자는 "도심 인구 공동화로 주변 인구가 줄어 환자가 감소하면서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적자가 지속된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대신 상계와 인산 등 남은 병원 경영에 힘쓰고 전 직원 고용유지와 환자들 전원도 책임지겠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반면 서울백병원 임직원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백병원 노조는 폐원 결정 직후 "이사회가 만장일치로 백병원 폐원안을 통과시켰다"며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고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병원 노조가 속한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입장문을 내 "일방적인 폐원 결정을 인정할 수 없다"면서 "구성원들에게는 생존권의 문제이며 지역사회에는 도심 의료 공백 현상을 초래할 것임을 계속 지적해왔다. 적자라는 이유만으로 폐원해서는 안 된다"고 했습니다.
서울백병원이 중구 내 유일한 대학병원인 만큼 의료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서울백병원의 월평균 수술 건수는 2017년 458건에서 2023년 3~5월 기준 194건으로 58% 가량 급감하긴 했지만, 서울시 중구 내 유일한 대학병원으로 응급 환자가 발생했을 때 제 역할을 다해왔다는 평가를 받아 왔습니다.
의료계 관계자는 "중구는 거주 인구가 적어 야간이나 휴일에 진료받을 수 있는 동네 의원을 찾기 힘든데, 백병원이 있어 취약계층이나 응급·소아환자에 대응할 수 있었다"면서 "하지만 앞으로 이 병원으로 이송되던 응급 환자는 다른 의료기관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서울백병원 폐원과 관련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여러분의 생각은 무엇인가요?
찬성: 적자로 인한 폐원은 당연하다
반대: 도심 의료 공백 등 부작용 초래할 것
중립: 기타 다른 의견
※ [위고라] 토론 결과는 관련 기관 및 단체에 배포될 예정입니다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