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가오는 로봇 배달 시대…요기요, 배달앱 최초로 실전 투입
▷요기요, 자율주행 한집배달 서비스 ‘로봇배달’ 정식 런칭 ▷요기요, “송도를 시작으로 다양한 지역에 로봇배달 확대할 것”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9.10

코 앞으로 다가온 로봇 시대...韓, 로봇 산업 현주소는?
▷로봇 산업의 빠른 발전과 함께 대중화 이어져 ▷현대차∙기아, 자율주행 배송로봇 실증 성공리에 마쳐 ▷軍, 대테러작전용 다족보행로봇 개발 완료...육군에 시범 배치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8.12

CJ ENM, 올해 2분기 영업이익 353억원 기록…흑자 기조 유지
▷CJ ENM, 2024년 2분기 매출 1조 1647억원, 영업이익 353억원 기록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8.08

현대차·기아, 로보틱스 콘셉트 세계 3대 디자인상서 최우수상 2개 수상
▶현대·기아, 로보틱스 콘셉트로 디지안 우수성 인정받아 ▶지난 23일 강남구 수서동에 서울시 최초 로봇 기반 시설 '강남 로봇플러스 테스트필드' 개소식 개최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7.24

어르신 1천 명이 버거킹·올리브영 배달한다... 어르신 도보배달 일자리 사업 실시
▷ GS리테일과 '어르신 일자리 동행 업무협약' 체결 ▷ 우선적으로 250명 모집... 1천 명까지 확대 ▷ 도보배달로 가벼운 상품 배송, 스마트워치에 가방까지 제공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3.19

미래차 핵심기술인 자율주행과 SDV 기술의 현주소
▷25일, ’자율주행 및 SDV 기술세미나’ 개최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1.25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