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Poll&Talk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첨예한 이슈들에 대해 대국민적 여론을 수렴합니다. 투표 결과와 댓글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공정한 투표를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폴앤톡] MBTI, 취업 필수 조건 될 수 있을까?

13명 참여
투표종료 2022.11.24 15:12 ~ 2022.12.07 15:05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처음 뵙겠습니다. 혹시 MBTI가 어떻게 되세요?” 

요즘 처음 만난 사이에 서로의 MBTI를 묻는 것이 당연시되고 있습니다.

심리 유형론을 근거로 만들어진 성격유형검사인 MBTIMZ세대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았습니다.

구글 검색량 지표를 나타내는 구글 트렌드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전세계에서 MBTI를 가장 많이 검색하는 국가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1(202111~202211)간 한국 MBTI 검색량을 100으로 봤을 때 몽골(40), 홍콩(23) 순으로 집계돼 다른 국가들에 비해 검색량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MBTI는 소몰토크를 넘어서 마케팅, 소개팅 등 다양한 분야에 빠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MBTI를 기업 채용이나 인사에까지 활용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공정성을 문제를 제기하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7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청년 채용 이슈 조사결과를 발표하며, 채용 과정에 MBTI를 활용하는 기업을 조사했습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전체 응답 기업 752개 중 3.1%에 해당하는 23개 기업만이 채용에 MBTI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체 기업의 3.1%에 불과해 미미한 수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인지도 있는 기업에서도 채용 지원 자격에 MBTI를 필수로 포함시키는 기업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어 MBTI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과 갈등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채용이나 인사에 MBTI를 반영하는 것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1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