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앤톡] 정부의 ‘공교육 정상화 대책’ 실효성 있을까?
- 부제: 공교육 신뢰도 어디까지 왔나?

(출처=네이버 지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정부가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고 공교육 신뢰도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실효성에 대해 의문이 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6월 26일 교육부는
사교육 축소하고 공교육을 강화하겠다는 목적으로 ‘킬러 문항 배제’를
골자로 한 ‘사교육 경감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교육부는 수능 킬러문항이 사교육의 가장 큰 원인으로 판단하고,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은 수능 출제에서 배재해 ‘공정한 수능’ 실현에
나설 방침입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공정한 수능 평가를 점진적∙단계적으로
확실히 실현하고 사교육 수요 원인별 맞춤 대응을 통해 사교육을 경감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밖에도 교육부는 ‘EBS 강좌 확대’, ‘IB(국제바칼로레아) 도입 검토’ 등 공교육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부의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책에 대해 교육 현장에서는 미비한 조치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교조는 "교육부가 발표한 EBS 시스템 개편을 통한 학생의 학습지원, 방과후학교 및 돌봄 강화는 공교육 강화와 무관한 공교육 내 사교육 지속화 방안이다"라며 "근본 원인은 성적이라는 한 가지 기능으로 촘촘하게 설계된 줄 세우기식 경쟁교육 체제"라고 꼬집었습니다.
대한민국교원조합은 "‘공교육 정상화’ 목적의 교육과정 연계 수능출제 방향을 환영한다"면서 "공교육과 사교육의 대결구도를 만드는 이분법적 사고는 경계하고, 학교 현장과 학부모의 우려 섞인 걱정을 살펴, 입시제도의 혼란은 없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교사노동조합연맹은 “사교육 경감 방안의 필요성은 공감한다”면서도 “대학 입시와 고교 정책에서 점수
경쟁 교육의 폐단을 시정하는 과감한 대책 없이 사교육이 줄어들 수 있을지 의문이다”라고
밝혔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사교육비 문제는 수능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입시제도, 대학체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얽혀있는
데다 근본적으로 학벌주의가 견고하고 좋은 직장은 ‘좁은문’인
사회 취업∙노동환경에
원인이 있다”며 “교육 정책과 함께
사회∙노동정책이라는
틀에서 멀리 보고 종합적인 정책을 펼 때 경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의 공교육 정상화 대책을 두고 정치권에서도 설전이 오갔습니다.
강득구 민주당 의원은 지난 6월 27일
국회 교육위원회가 개최한 전체회의에서 “킬러문항 배제가 사교육비 절감의 근본 대책이 되냐는
점에는 아무도 동의하지 않는다”며 “수능을
5개월 앞둔 상황에서 이런 의견을 낸 것이 적절한가”라고
지적했습니다.
반면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은 “킬러 문항은 대학 전공 수준의
지식을 요구한다”며 “사교육으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힌 학생에게만 유리하며 교육 과정 내에서도 변별력 있는 문제의 출제가 가능하다”고
반박했습니다.
편집자주: 정부의 ‘공교육 정상화 대책’을 둘러싸고 다양한 의견들이 맞붙고 있는 가운데, 본지는 공교육 신뢰도의 현주소를 점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실태조사를 진행합니다. [폴앤톡] 투표 결과는 관련 기관 및 단체에 배포될 예정입니다
※
공교육 신뢰도 실태 여론조사 개요
- 내용: 공교육 신뢰도 실태조사
- 목적: 공교육 신뢰도의 현주소 및 하락의 원인 분석, 교육정책에 대한 의견 수집
- 참여 대상: 전국 유초중고 교원
- 조사 기간: 8월 30일부터 약 2주간
Poll&Talk 진행 중인 Poll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4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5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6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7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