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플러스] 참여자 2명 중 1명 '김건희 특검' 찬성, 반대 42.9%

우선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김건희 특검에 동의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동의한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50.6%로 가장 높았습니다. 참여자 A는 “떳떳하다면 특검 못 받을 이유가 무엇이냐”면서 “더 이상 국민 공분사지 말고 자발적으로 협조해라”라고 말했습니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다’는 42.9%로 ‘동의한다’로 응답한 답변과 불과 7.7포인트 차이밖에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참여자 B는 “영부인에 대한 특검은 말이 안된다”면서 “(이는) 이재명 대표의 방탄을 위한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다음으로 특검을 한다면 검찰 수사가 공정하게 이뤄질지에 대한 질문에 ‘전혀 그렇지 않다’가 28.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그렇다’ 26.8%, ‘매우 그렇다’ 15.7%, ‘보통이다’ 13.1%, ‘그렇지 않다’ 12.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사항 없음(특검 반대)은 4.6%를 차지했습니다.
참여자 C는 “검찰은 야당 대표에 대한 조사는 신속한 반면 김 여사의 사안에만 소극적”이라면서 “(이 때문에 현 정부가) 공평∙공정성과 거리가 멀다는 지탄을 받고 있다”면서 검찰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마지막으로 참여자의 정치 성향을 묻는 질문에 ‘중도’가 63.4%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도 보수’ 14.4%, ‘중도 진보’ 9.8%, ‘보수’ 7.2%, ‘진보’ 5.2% 순이었습니다.
‘김건희 특검’에 대한 이번 폴앤톡 투표 결과를 비춰봤을 때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등 주가조작 의혹 사건을 둘러싼 검찰의 ‘무혐의 처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9일 더불어민주당은 김 여사 주가조작 의혹 등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법을 발의해 해당 논란은 앞으로 계속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 특검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는 것은 간과해서는 안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참여자의 63%이상이 정치 성향을 중도라고 밝혔음에도 여론이 팽팽히 양분되는 모양세를 보여, 김 여사 특검 이슈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야당 입장에서는 김건희 특검을 무기로 현 정권을 압박할 생각이겠지만, 끝없는 여야의 소모적 정쟁으로 인해 오히려 국민들을 갈라치기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물어야 할 때가 아닐까합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기계연구원(2022)에서 배포한 ‘한국기계연구원 서체’(공공누리 제1유형)를 사용하였으며, www.kimm.re.kr/webfont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