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플러스] 10명 중 7명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안 찬성…"미래지향적 한일관계 필요"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위즈경제가 ‘정부 강제징용 해법안, 미래 지향 VS 굴욕 외교’를 주제로 <폴앤폭>을 진행한 결과, 참여자 10명 중 7명이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안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폴앤톡>은 지난 3월 9일부터 4월 5일까지 진행됐고, 총 390명이 참여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먼저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 참여자 74.5%가 ‘미래와
국익을 위한 대승적 결단이다’라고 답했습니다.
정부의 해법안에 반대하는 ‘민족 감정을 외면한 굴욕 외교다’를 선택한 참여자는 24.5%,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참여자는 0.8%로 조사됐습니다.
정부가 내놓은 해법에 찬성하는 참여자들은 일본과 관계개선을 통해 미래지향적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참여자 A씨는 “통크게
먼저 용서하고 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과거에 매여 미래지향적인 행보를 포기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습니다. 참여자 B씨는 “감정적으로는 일본이 싫지만 앞으로 대한민국의 번영을
위해서는 미래로 나아가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정부의 해법에 반대하는 이들은 일본의 사과가 필수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었습니다. 참여자 C씨는 “사과 한번이면 국민들도 모든 문제를 용서할 것”이라며 “정부도 일본과 정식적인 관계개선을 위해 꼭 사과를 꼭 받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두번째로 ‘강제징용 및 위안부 문제가 한일관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지’를 물은 질문에 ‘매우 지지한다’가 39.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그렇다’(19.8%), ‘그렇지 않다’(16.3%), ‘전혀 그렇지 않다’(13.2%), ‘보통이다’(10.9%) 순이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세번째 질문인 ‘정부의 대일 외교 정책을 얼마나 지지하나요’라는 질문에도 ‘매우 지지한다’가 56.5%로 가장 많았고, ‘지지하는 편이다’(17.3%), ‘전혀 지지하지 않는다’(15.6%), ‘지지하지 않는 편이다’(7.8%), ‘보통이다’(2.6%)가 뒤를 이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마지막으로 정치 성향을 묻는 질문에는 ‘보수’가 38.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뒤이어 ‘중도’(29.4%), ‘중도
보수’(25.9%), ‘중도 진보’(3.7%), ‘진보’(2.6%)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투표 결과를 통해 일본과의 관계개선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많은 국민들의 인식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 세계적인 경제위기로 국가 간의 협력이 강조되는 때 한일 간 협력 강화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초석임은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한일정상회담 후 일본에서는 역사 교과서 왜곡,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규제 철폐 등 민감한 현안을 잇달아 내놓고 있습니다. 이는 자칫 힘겹게 이뤄낸 양국 간의 관계를
해칠 수 있는 사안들인 만큼 정부는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적절한 대처를 취해야 할 것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