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2025학년도 수능이 한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교육부가 안정적인 수능 시행을 위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 안정적 시험 시행을 위한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수능은 내달 14일 8시 40분부터 17시 45분(일반수험생 기준)까지 전국 85개
시험지구 1282개 시험장에서 실시되며, 응시자는 전년보다 1만8082명 증가한 52만2670명이다.
정부는 52만여 명의 수험생이 수능에 원활하게 응시할 수 있도록 당일
아침 교통 혼잡을 줄이고, 시험시간 중에는 시험장 주변 소음을 방지하는 등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우선, 수능 당일 아침 수험생이 교통 혼잡으로 시험장에 늦게
도착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고자 교통 소통 원활화에 나선다.
이를 위해 관공서·기업체 등에 출근 시간을 오전 10시 이후로 조정하거나, 수험생 등교 시간대에 수도권 지하철 운행 대수 증편, 경찰서 등
행정기관의비상 수송차량을 수험생 이동 경로에 배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험장 주변의 교통 혼잡 예방을 위해 수능 당일 시험장 200m 전방부터
차량 출입을 통제해 수능 당일 자차를 이용하는 수험생은 시험장 200m 전방에서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교육부는 시험장 주변 소음 방지를 위한 대책도 내놨다.
3교시 영어영역 듣기평가 진행 시간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항공기·헬리콥터
이착륙 시간을 조정하고, 포 사격 및 전차 이동 등 군사훈련을 잠시 중단한다.
또, 듣기평가 시간대 이외에도 수험생이 시험장 주변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시험장 주변을 지나는 버스·열차 등은 서행하고 경적 사용을 자제하고, 시험장 주변 행사장,공사장 등의 생활소음도 최대한 자제를 당부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14개 시도교육청은 수능 당일 안전한 시험 환경 조성을 위해 다음달 1일까지 전체 시험장을 대상으로 안전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경찰청, 시도교육청과 함께 문답지 보안관리를 위한 철저한 경비 체계 마련과 모든 시험지구에 교육부 중앙협력관을
파견해 문담지 관리를 지원할 방침이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