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사장님들이 희망하는 알바생의 근속 기간이 최소 7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알바몬이 무료 근태·급여관리 솔루션 보스몬과 함께 알바생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회원 161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알바생 조건’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알바몬과 보스몬은 설문에 참가한 사장님들께 채용한 알바생이 최소 몇 개월까지 근무하기를 희망하는지 물은 결과, 사장님들이 희망하는 알바생 근속 기간은 평균 6.8개월로 집계됐다.
알바생 채용 시 근속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알바생의 면접
태도(30.4%)’를 통해 확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한 알바를 오래 해 본적 있는지를 보고(24.2%)’, ‘면접 시 알바생의 답변을 듣고(21.1%), ‘현재
상태(휴학생, 전업 주부 등)를 보고(13.0%)’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장님들이 알바생에게 바라는 최소한의 근무 태도를 묻는 질문에
‘하루 전날 결근 통보 또는 무단 결근하지 않기(64.6%)’가
꼽혔다.
이어 ‘지각하지 않기(50.3%)’,
‘시키지 않아도 알아서 할 일 찾아하기(19.9%)’, ‘일하는 중 핸드폰 보지 않기(19.9%)’, ‘근무 시간 중 동료들과 큰소리로 잡담하지 않기(9.9%)’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아무리 일손이 급해도 절대 뽑고 싶지 않은 알바생 유형으로는
‘면접 말투가 퉁명스럽고 표정이 어두운 사람(39.8%)’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면접 시간에 늦는 사람(26.1%)’,
‘휴식 시간, 급여 조건 등 요구하는 사항이 많고 까다로운 사람(16.8%), ‘면접 시 용모가 단정하지 않은 사람(14.9%) 등이
꼽혔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