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플러스] 웰 다잉 문화 확산에…참여자 절반 이상 조력존엄사 도입에 찬성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투명한 여론조사 위즈경제 ‘폴앤톡’에서 ‘조력존엄사법’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참여자 54.1%가 조력존엄사법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2월 3일부터 2월 17일까지 실시됐고, 총 111명이 참여했습니다.
우선 “의사의 조력을 받아 스스로 삶을 종결하는 조력존엄사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 ‘그렇다’로 선택한 참가자는 54.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아니다’ 43.1%, ‘잘
모르겠다’ 2.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조력존엄사법에 찬성하는 측에서는 “사람 목숨이란 쉽게 다룰 수 없지만
아픈 사람들에 한해서는 (조력존엄사법)을 시행해도 괜찮을
거 같다”, “완치 불가능한 병으로 심각한 고통을 받는 사람에 한해서는 인정해주는 것에 찬성한다” 등의 반응이 있었습니다.
반면 조력존엄사법을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생명은 함부로 하면 안된다”면서 “말이 조력존엄사지 결국 자살을 돕는 것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다음으로 “조력존엄사법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죽음에 대한 자기 결정권 존중’이 37.6%로 가장 많은 참여자가 선택했으며, 뒤이어 ‘환자의 고통 경감’이
13.8%, ‘남은 삶의 무의미’가 4.6%로 집계됐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마지막으로 “조력존엄사법을 막아야 하는 가장 큰 이유”란 질문에 ‘생명존중 사상에 대치’가
33.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악용과 남용의 위험’ 10.1%, ‘회복 가능성 여부’ 3.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조력존엄사법’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에 따르면 사전연령의료의향서 등록 누적 인원은 ▲2018년 10만명 ▲2019년 53만명 ▲2020년 79만명 ▲2021년 115만명 ▲2022년 10월말 기준 150만명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전의향서는 19세 이상 성인이 미리 자신의 연령의료 중단 결정에 대한 의사를 문서로 남기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삶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존중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하는 ‘웰 다잉’(Well-Dying) 문화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하지만 의료계와 종교계 등이 존엄사가 생명 경시 풍조를 확산한다는 이유로 ‘조력
자살’에 반발하고 있고, 말기 암 환자의 통증 완화 및 임종
관리를 할 수 있는 인프라가 부족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사회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