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재정 효율화 위한 칼 빼든다
▷ 5년간 확장적 재정운용으로 국가채무 1100조원 기록
▷ 정부, 비효율을 유발하는 '나눠 먹기식' 재정사업에 변화
▷ 일자리 패러다임, 복지 효율화 정책 등을 시행할 계획

우리나라는 지난 5년간 확장적 재정운용으로 국가채무가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증가했습니다. 22년 기준 국가채무는 1,100조원
수준인데 이는 비기축통화국 평균에 임박하는 수치입니다.
국제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Fitch도 우리나라 재정 수준을 두고 "기존 재정기조를 유지하면 신용등급에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말했습니다.
#일자리 패러다임, '공공'에서 '민간'
정부는 이런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해 칼을 빼들었습니다. 비효율을
유발하는 '나눠 먹기식' 재정 사업에 변화를 주겠다는 건데요.
정부는 우선 일자리 패러다임을 전환합니다. 기존에는 정부의 재정지원을
통한 일자리를 창출했다면 앞으로는 정부가 시장과 민간을 간접 지원해 고용을 늘리겠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일자리 사업들과 코로나 19 동안 한시적으로
시행한 사업들을 폐지할 계획입니다. 취업률 등 성과가 저조한 사업
32개도 감액 또는 제도 개선을 추진합니다.
대신 민간기관 등 다양한 훈련주체를 활용해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인력을 양성하는데 힘을 쏟기로 했습니다.
#복지투자, 지출 효율화로
복지-성장 선순환
복지투자도 지출 효율화를 통한 복지-성장 선순환을 꾀합니다. 복지수요가 증가하는 과정에서 재정 여력이 축소되면 새로운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고독사, 가족돌봄청년 등 새로운 복지 수요에 대응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각지대 발굴과 선제적 안내도 나섭니다.
오는 9월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2차 개통을 앞둔 만큼 ‘복지멤버십’을 전 국민을
대상으로 확대해 생애주기별 급여를 안내할 계획입니다.
#先 민간 투자, 後 정부지원
정부는 또 중소·벤처 기업의 혁신성장 지원 방향으로 민간 주도의 재정
지원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정부가 제한 목표를 기업이 채우면 당근을 주는 방식을 지양하고, 민간이
먼저 투자하면 정부가 이를 뒷받침하겠다는 것인데요.
쉽게 말해, 先 민간 투자, 後
정부지원의 민간주도 재정지원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시장 수요에 대응해 현장을 제때 지원할 수 있도록 정책자금을 새로 배치하고 성과 창출형 연구·개발(R&D) 방식을 도입합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