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증시다트] 외국인 관광객 몰리는 올리브영, CJ 성장 전망

▷ 올리브영 매출 성장…CJ 기업가치 상향
▷외국인 10명 중 8명 올리브영에서 소비

입력 : 2025.09.16 15:00
[증시다트] 외국인 관광객 몰리는 올리브영, CJ 성장 전망 올리브영 매장 (사진=연합뉴스)
 

[위즈경제] 전희수 기자 = K뷰티의 성장과 외국인 입국증가에 힘입어 올리브영 매출이 확대되면서 CJ의 기업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12
일 대신증권은 CJ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22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대신증권은 CJ 2025~2026년 올리브영 매출액을 각각 전년 대비 17.6% 증가한 5 6천억 원, 13.5% 오른 6 4천억 원으로 전망한다, 이에 따라 CJ가 보유한 CJ올리브영 지분(51.2%) 가치를 기존 3 7천억 원에서 25% 늘어난 4 6천억 원으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매출 전망에는 외국인 입국 수요의 증가에 따른 올리브영의 인바운드(Inbound) 매출이 기존 예상치를 상회할 가능성과 온라인 매출비중 확대에 따른 외형성장 및 수익성 개선에 대한 기대가 반영됐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2025 7월 외국인 입국자 수는 173 3천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1% 증가해 2016 7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인 입국자는 2016 10월 이후 처음으로 60만 명을 넘어섰다. 이달 말 시행 예정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시행으로 중국인 입국자 수 증가에 속도를 더할 전망이다.  


한편, CJ CJ올리브영 합병 가능성에 대해 대신증권은CJ그룹 4세인 이선호씨의 지주사 복귀 소식으로 합병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커지고 있으나, 단기간 내 두 회사의 합병 혹은 승계 작업이 근시 일 내에 이루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전했다.

K뷰티 트렌드 열풍 관광객 필수코스, 올리브영

지난 7월 올리브영이 인용한 한국관광데이터랩 집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은 약 720 6,70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올리브영에서 상품을 구매한 외국인 고객은 596 2,700여 명에 달했다. , 한국을 찾은 외국인 10명 중 8명이 올리브영에서 소비를 한 셈이다. 이처럼 올리브영은 외국인 관광객의 필수 방문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한국관광공사는 지난 6 19일부터 8 31일까지 올리브영과 함께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쇼핑관광 활성화를 위한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올리브영 ‘명동타운’ 매장을 비롯한 121개 매장에서 즉시환급형 사후면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5천 원 할인쿠폰 등을 제공했다.

유정현·정한솔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과거 단체관광 중심의 방한 수요는 면세점 중심으로 화장품 소비가 이뤄졌으나, 최근에는 2030 여성 자유 관광객이 늘면서 올리브영, 다이소, 개별 브랜드의 플래그십 매장 등으로 화장품 수요가 이동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올리브영은 명동·홍대·강남 등 주요 관광 동선에 위치해 있으며, 다양한 인디브랜드의 기초와 색조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대로 판매한다”“이는 가성비를 중시하는 20~30대 해외 관광객의 소비 트렌드와 맞아떨어진다. 또한 시연존 등 다양한 체험 공간도 소비자를 매장으로 끌어들이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전희수 사진
전희수 기자  heesoo5122@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