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푸틴·젤렌스키 회담설 일축한 러시아… 전쟁 종식 논의엔 '거리두기'
▷ 트럼프 “정상회담으로 평화 가능” 강조… 러시아는 “조건 갖춰야” 신중론
▷ 우크라 “모스크바 방문 제안 수용 불가”… 유럽은 회담 중재 시도 지속
![[외신] 푸틴·젤렌스키 회담설 일축한 러시아… 전쟁 종식 논의엔 '거리두기'](/upload/03c1eaf756e84dc891f6fffaf6123b6b.jpg)
[위즈경제] 이수아 기자 =최근 미국과 유럽, 우크라이나 간 정상회담 이후 전쟁 당사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직접 대화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지만, 러시아는 여전히 모호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현지시간 19일 BBC에 따르면 러시아 크렘린궁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정상회담이 임박했다는 관측을 부인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모든 회의는 점진적으로 준비돼야 한다”며 “전문가 수준의 논의부터 시작해 필요한 단계를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양국 정상이 만나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한 가운데 나온 반응이다.
BBC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제안은 최근 알래스카에서 푸틴 대통령과 회동한 뒤, 유럽 7개국 정상과 젤렌스키 대통령을 백악관으로 초청한 이후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갈등이 ‘풀기 어려운 문제’라고 표현하며, 푸틴 대통령이 적대 행위를 중단할 의지가 없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몇 주 안에 푸틴 대통령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될 것”이라며 “그가 합의를 원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은 채, 푸틴 대통령이 합의를 원치 않는다면 ‘힘든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푸틴 대통령은 하루 전인 18일 트럼프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와의 직접 회담에 대해 ‘열려 있다’고 언급했지만, 다음 날 라브로프 장관은 신중한 태도로 선을 그었다.
러시아의 유엔 부대표 드미트리 폴얀스키 역시 BBC와의 인터뷰에서 “직접 회담의 기회를 누구도 거부한 적 없다”면서도 “회담이 단순히 회담 자체를 위한 것이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BBC는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에게 젤렌스키 대통령이 모스크바를 방문해 회담할 수 있다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그러나 우크라이나 측이 리를 수용할 가능성은 없다”고 전했다.
이어 “이 제안은 키이우가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무리한 옵션을 러시아가 내놓은 것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일련의 회담을 통해 전쟁의 복잡성과 모스크바와 키이우 사이의 입장 차이를 다시금 인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푸틴 대통령과의 합의로 휴전 협정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했던 초기 구상이 현실화 되지 않았음을 인정하며, “이제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직접 영구적인 평화 협정을 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보 보장 문제에서는 일정한 진전이 있었다. 젤렌스키 대통령과 유럽 각국 정상들은 평화 협정이 체결될 경우, 우크라이나의 주권 보장이 핵심이 돼야 한다는 점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설득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 휴전이나 평화 협정이 성사된다면 유럽 국가들이 우크라이나에 지상군을 파병할 경우, 미국은 ‘공중 지원’을 제공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단, 미군을 직접 파병하는 방안은 배제했다.
다만 이러한 공중 지원이 정보 수집이나 전투기·군용기 지원까지 포함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약속이 여전히 모호한 가운데, 프랑스와 영국이 주도하는 ‘의지 연합(Coalition of the Willing)’은 전투가 종료될 경우 우크라이나에 파견될 수 있는 ‘안심 군(reassurance force)’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19일에 열린 화상회의 후 영국 총리실 대변인은 “강력한 안보 보장을 제공하기 위한 계획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며 미국과 며칠 내 회의를 열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 간 회담이 성사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통해 평화 협정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그는 두 정상 사이에 ‘악감정’이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러시아는 자국 군대가 전선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회담에 나설 유인이 크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와 유럽 지도자들은 양자 회담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에 대해 ‘열려 있다’는 태도를 보였으며, 유럽 국가들은 잠재적인 회담 장소를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직접 회담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는 푸틴 대통령이 전쟁 종식을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에 대해 보다 더 강경한 입장으로 돌아가도록 설득하려는 의도도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댓글 2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