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인하이어, 잡코리아 통합 1년 주요 성과 발표…월 매출·전환율 등 성장
▷나인하이어, 잡코리아 통합 년간 성과 발표
▷”향후 기업 니즈를 반영한 채용 환경 제공 및 AI 서비스 경쟁력 강화할 것”
(사진=잡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잡코리아 채용 관리 솔루션 나인하이어가 지난해 잡코리아와 통합 후 1년 간의 성과를 분석해 공개했다고 2일 밝혔다.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채용 관리 솔루션 업계 흐름 속 나인하이어는 작년 1분기
대비 눈에 띄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 3월 기준 월 반복 매출(MRR)은
전년 대비 52% 넘게 성장했으며, 신규 기업 고객의 평균
매출도 46% 이상 증가했다.
또한 나인하이어를 이용하는 전체 유료 고객사 수도 40% 이상 늘어나는
등업계에서 주목받는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했다.
나인하이어의 성장 비결로는 잡코리아와 통합 시너지 효과와 함께 서비스 고도화,
기능 확대 등이 꼽힌다.
특히 나인하이어는 ▲채용 플랫폼(잡코리아) ▲AI 면접 ▲인적성검사 ▲코딩테스트
▲레퍼런스 체크 ▲인사관리 솔루션 등 고객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플랫폼 연동 파트너십을 대폭 확대했다.
또 나인하이어에 따르면 올해 초(1~3월) 동안
경쟁 서비스에서 나인하이어로 전환된 고객사 확보 속도는 작년 대비 약 77% 이상 빨라진 것으로 조사됐으며, 지난해 경쟁 입찰 시 44%의 높은 선택률을 기록하는 등 최근 3년 간 고객사 도입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나인하이어는 다양한 신규 기능 출시와 기존 코어 서비스 고도화로 고객사 확대 및 브랜드 인지도, 제품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잡코리아 자체 생성형 AI ‘룹(LOOP
Ai)’을 접목시킨 ATS 기능을 개발해 공고 및 이미지 생성, 지원자 정보 요약 과정에서 AI를 활용한 차별화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정승현 나인하이어 사업 리드는 “지난 1년동안 잡코리아가 가진 양질의 채용 데이터와 업무 노하우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한
것이 좋은 성과로 이어졌다”라며 “앞으로
기업의 니즈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차별화된 채용 환경을 제공하고 AI를 활용한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