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청년가구 월평균 생활비 213만 원, 평균소득 2,625만 원
▷ 평균부채 1,637만 원, 평균 재산은 5,012만 원
▷ 삶의 만족도 6.7점으로 국민 전체 평균보다 높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024년 청년의 삶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년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213만 원으로 식료품비(80만 원)에 가장 많은 지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이 교통비(22만 원), 오락 및 문화비(18만 원) 순이다.
이번 실태조사는 국무조정실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주)한국리서치에 의뢰하여 실시되었으며, 전국 17개 시도의 만 19~34세 청년가구원이 있는 약 15,000가구를 표본으로 선정했다.
조사 결과, 청년 개인의 평균소득은 2,625만 원, 평균 부채는 1,637만 원, 평균 재산은 5,012만 원으로 조사되었다.
취업자의 비율은 67.7%, 세금 공제 전 월소득은 266만 원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중 주 36시간 이상인 전일제는 80.4%, 시간제는 19.6%이며, 이 중 복수 일자리를 갖고 있는 비율은 5.5%이다. 임금 근로자 중 계약기간을 정하지 않은 비율은 76.2%이며 직장 평균 근속기간은 35개월을 기록했다.
구직활동 관련, 미취업자 중 지난 4주 내 구직경험이 있었다는 청년은 14%에 불과했다. 평균 구직활동 기간은 6.5개 월이었으며, 비구직자중 직장을 원하지 않는 청년의 지난주 활동상태는 정규교육기관 통학이 34.8%로 가장 많았다. '쉬었음'은 27.5%, 취업준비 13.3%, 육아 8.7%, 가사 4.6% 등의 순이다.
이직 및 구직 시 고려요인으로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사항은 임금(57.9%)이었다. 그 다음이 고용안정성(9.9%), 근로시간(7.6%), 장기적 진로설계(5.4%) 등의 순이었다.
고졸 이하 청년은 17.4%이며, 이들 중 40.4%는 빨리 취업하여 돈을 벌고 싶다는 이유로 대학에 진학하지 않았다. 대학생 이상인 청년은 82.6%이며, 일반 4년제가 78.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눈에 띄는 점은 청년의 사회인식 및 미래설계 부문이다. 현재의 삶에 대한 평가 결과, 삶의 만족도는 6.7점으로 국민 전체의 평균(6.2점)보 다 약간 높았다. 행복감이 6.8점, 자유로운 선택 6.9점을 기록한 반면, 사회에 대한 신뢰은 5.3점으로 약간 낮았다.
청년이 바라는 삶의 요소(중복응답 가능)는 원하는 일자리가 95.9%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좋은 인간관계(94.7%), 높은 소득과 많은 자산(93%), 연애(78.3%), 결혼(74.4%), 사회기여(71.8%), 출산양육(69%) 순이다.
미혼 청년 중 향후 결혼계획을 갖고 있는 비율은 63.1%, 자녀 출산의향은 59.3%로 나타났다.
한편, 김달원 청년정책조정실장은 "우리나라의 미래인 청년의 삶이 보다 나아질 수 있도록, 향후 청년 정책 과정 수립 시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