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말리아 해적 활동 증가세... 승선자 피해 151명
▷ 해양수산부, '2024년 전세계 해적사건 발생 동향'
▷ 우리나라 국민 피해는 없었으나, 아시아 해역에서의 해적 활동 활발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해양수산부가 소말리아 해적 활동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해운업계의 주의를 당부했다.
해양수산부의 '2024년 전 세계 해적사건 발생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해적사건은 2023년 대비 120건에서 116건으로 감소하였으나, 소말리아 및 아덴만 해역에서만 8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1건)에 비해 크게 늘어난 규모이며, 이 가운데 3척의 선박이 피랍되었고, 선원이 일시적으로 감금되는 사건도 3건(50명)이나 발생했다.
해역별로는 아시아 해역에서 88건이 발생하여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아시아 해역 중에서도 방글라네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해적 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아시아 해역에서는 그간 생계형 해상강도가 잦게 발생했는데, 지난해에는 해적이 조직적으로 선박을 납치해 화물을 탈취한 사례가 2건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그 다음으로는 서아프리카(18건), 소말리아 및 아덴만 등의 순이었다.
눈에 띄는 점은 승선자 피해이다. 승선자 피해는 지난해 151명으로 2023년(119명)에 비해 크게 늘었다. 일시적 억류 126명, 납치가 12명, 위협 12명, 부상 1명으로 전년대비 27%의 증가율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피해는 없었고 사망사례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해적 사건의 수 자체가 줄어들었음에도 승선자 피해가 늘었다는 건 해적들의 공격성이 심화되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세계 곳곳에서 해적 사건의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고, 소말리아 해적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며, 해적피해 예방 활동을 강화할 것을 부탁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2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3결사 반대
4이런 기사가 우리 주주에게는 큰 힘이 됩니다. 소액주주들이 눈물 흘리지 않도록 이런일은 없어야합니다. 소액주주여러분 힘냅시다!!! 기사 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5김우동같은것들이 부당한짓을 하고도 법의테두리 안에서 처벌을 받지않는한 제2 제3의 김우동은 계속해서 나올겁니다 이래서 하루빨리 상법개정 해야합니다
6소액주주들은 주식투자를 함에 있어 그 회사의 경영실적 및 전망, 재무재표 등을 참고해서 투자합니다. 그 회사의 오너랑 얘기한번 나눠본적 없고, 얼굴한번 보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너가 횡령을 할지, 배임을 저지를지 예상하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오너가 횡령이나 배임을 저질렀을때 그 오너를 처벌해야지 아무죄도 없는 소액주주들이 왜 괴로워 해야 되나요? 이게 공정한 사회인가요? 경영실적 부진으로 상폐당했다면 저는 아무말 않고 저를 탓하겠습니다. 지금 대유라는 회사 흑자내며 잘 돌아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7사법부 신뢰가 무너진 요즘 더 소액주주로서 분노하게됩니다.약자보호는 관심없는 법! 상법개정 절실합니다. 소액주주연대 힘냅시다. 관심갖고 보도해주신 기자님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