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42.2%, 국힘 40.8%..."윤 지지층 결집" 분석
▷ 민주 4주 연속 하락, 국힘 4주 연속 상승
▷ 정권 교체 52.9%, 정권 연장 41.2%
정당 지지도 주간 변화 그래프. (출처=리얼미터)
[위즈경제] 이필립 기자 =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실시한 1월 2주 차 정당 지지도 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지지율 격차가 1.4%포인트로 좁혀지며 16주 만에 오차범위(±3.1%P) 내로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9~10일 전국 성인 1006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전주 대비 3.0%포인트 하락한 42.2%를 기록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6.4%포인트 상승한 40.8%를 기록하며 지난해 7월 이후 약 6개월 만에 40%대 지지율을 회복했다.
더불어민주당은 4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대전·세종·충청(12.6%P↓)에서 가장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고, 대구·경북(4.7%P↓), 광주·전라(4.7%P↓), 인천·경기(3.8%P↓)에서도 지지율이 하락했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14.6%P↓), 60대(11.4%P↓), 20대(11.1%P↓)에서 두 자릿수 하락을 보였다. 다만 30대(7.2%P↑), 40대(6.6%P↑), 50대(3.3%P↑)에서는 상승했다.
국민의힘은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대전·세종·충청(11.4%P↑)과 인천·경기(8.5%P↑)에서 큰 폭으로 올랐고, 대구·경북(5.7%P↑), 부산·울산·경남(4.6%P↑), 서울(4.3%P↑)에서도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23.2%P↑), 60대(12.4%P↑), 20대(9.9%P↑)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40대(3.4%P↓)에서는 하락했다.
차기 대선 집권세력 선호도 조사에서는 '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 의견이 52.9%로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41.2%)을 11.7%포인트 앞섰다. 권역별로는 호남권(정권교체 78.3% vs 정권연장 16.8%)과 인천/경기(53.5% vs 41.5%)에서 정권교체론이 우세했고, 대구·경북(36.8% vs 58.6%)에서는 정권연장론이 앞섰다.
연령대별로는 40대(정권교체 73.2% vs 정권연장 24.2%), 50대(65.3% vs 30.3%), 30대(55.3% vs 41.3%)에서 정권교체 의견이 우세했고, 70세 이상(24.8% vs 63.8%)에서는 정권연장론이 우세했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3.0%가 정권교체를, 국민의힘 지지층의 88.1%는 정권연장을 선호했다.
소수 정당의 경우, 조국혁신당이 4.8%로 변동이 없었고, 개혁신당은 0.7%포인트 하락한 2.4%, 진보당은 0.1%포인트 상승한 1.2%를 기록했다. 무당층은 3.0%포인트 감소한 6.6%로 나타났다.
익명을 요구한 국회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페이스북 메시지를 내고, 시위대에 편지를 보내는 등 지지층 결집을 꾀한 것이 통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뒤늦게야 '제3자 추천' 특검을 추진하는 등 민주당 지도부의 전략이 부족해 내란 사태가 장기화했고, 이 같은 결과가 빚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1월 9일과 10일 양일간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7,800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1006명이 응답(응답률 5.7%)했다.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