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종량제폐기물 하루 190톤씩 감축해"
▷ '수도권지역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오는 2026년 적용
▷ 서울시, "종량제폐기물 감축을 위한 시민들의 노력 부탁"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서울시가 올해 종량제폐기물을 하루에 190톤씩 감축했다고 전했다. 2026년까지 종량제 폐기물 감축을 목표로 잡은 450톤/일의 약 42%를 줄인 셈이다.
서울시는 오는 2026년 적용 예정인 '수도권지역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의 준수를 위해, 생활폐기물 감축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올해 1~8월 사이 사업장폐기물 자체처리를 강화하고, 재활용가능자원 분리배출 확대 등을 시행했다는 설명이다.
★수도권지역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지난 2021년, 환경부는 생활폐기물을 선별이나 소각 없이 매립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을 확정해 공포한 바 있다. 이는 오는 2026년부터 수도권 3개 시도에 대해 적용된다. 2022년 기준, 서울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하루에 3,052톤으로, 서울시는 이 중 약 30%(850톤/일)을 토지에 매립해왔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서울시는 그동안 공공 처리했던 폐기물을 자체 처리로 전환하면서 '종량제폐기물'을 하루에 91톤 감축했다. 또, 도자기, 판유리, 타일 등 하루 67톤 매립되었던 불연성폐기물 중 약 45톤/일을 재활용해 위탁처리로 전환, '불연성폐기물 재활용'도 확대했다.
아울러, 대부분이 종량제봉투에 배출되어 소각 및 매립된 '봉제원단'과 '커피박'도 재활용으로 전환해 하루 52톤의 폐기물을 줄였다.
서울시는 지난 2021년부터 카페, 식당 등에서 시행하고 있는 '제로웨이스트 서울 프로젝트'도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고 강조했다. 개인컵 사용지원 사업 다각화 등을 통해 일회용 컵 약 685만 개를 감축했다.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이 많은 장례식장, 야구장 등에서도 다회용기 보급을 통해 일회용 용기 567만 개의 사용을 줄였다.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 曰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시행이 1년여 앞으로 다가온 만큼 종량제폐기물 감축을 위한 손에 잡히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 생활폐기물로 인한 피해로부터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업으므로 종량제폐기물 감축을 위한 시민 여러분의 실질적인 실천과 참여를 간곡하게 당부드린다"

댓글 0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