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서울 주요지역 오피스 공실률 역대 최저..."임대인 우위 뚜렷"

▷강남권 평당 임대료 최고치 경신...임차인 잔류 늘어
▷대기업 이전 시 임대료 상승세 둔화 가능성

입력 : 2024.11.12 17:27 수정 : 2024.11.12 17:28
서울 주요지역 오피스 공실률 역대 최저..."임대인 우위 뚜렷" 서울 남산에서 내려다 본 업무용 빌딩 (사진=연합뉴스)
 

[위즈경제] 이필립 기자 = 올해 3분기에도 서울 오피스 시장은 '임대인 우위' 흐름을 이어갔다. 신규 오피스 공급이 부족해 서울 주요 업무권역의 공실률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쿠시먼코리아)가 오늘(12일) 발표현 '오피스 테넌트 프로파일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기준 여의도업무권역 공실율은 3.4%, 중앙업무권역(종로·중구) 3.1%, 강남업무권역 3.0%로 집계됐다.

 


역대 최저를 기록한 서울 주요지역 오피스 공실율. (출처=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
 

 

이는 최근 2년간 제한적으로 이뤄진 신규 공급의 영향이라는 설명이다. 2023년부터 2024년까지 권역별로 앵커원(여의도), TP타워(여의도), 메리츠화재 신사옥(중앙), 스케일타워(강남) 등이 신규 공급됐으나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임대료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2024년 3분기 서울 오피스 임대료는 전년 동기 대비 평균 3.4% 올랐다. 특히 2023년부터 가장 높은 임대료를 기록한 강남권은 평당 임대료가 약 12.7만원까지 치솟았다. IT 스타트업과 전략적 투자 수요가 몰리고, 금융·서비스·제조 등 주요 업종이 고르게 분포해 있어 당분간 현재의 위상을 유지할 것으로 쿠시먼코리아는 내다봤다.

 


신규 공급에도 불구하고 오피스 임대료는 급격히 상승했다. (출처=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
 

 

또한 서울 오피스 인테리어 비용이 2019년 대비 2023년 평균 32% 상승해 임차인의 '잔류 선택'은 늘었다. 쿠시먼코리아는 "급등한 이전 비용과 높은 임대료를 고려해 많은 기업들이 기존 계약을 연장하거나, 비용이 저렴한 오피스를 동시에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업무권역에 위치한 대기업들이 이전을 검토해 임대료 상승세가 다소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종로 그랑서울에 입주한 SK그룹 계열사, 강남 센터필드 내 SSG닷컴 등 대규모 면적을 사용하는 대기업이 임대료가 저렴한 지역으로 이전을 고려하고 있다.

 

쿠시먼코리아는 마곡 지역이 새로운 오피스 수요를 흡수하며 신흥 업무지구로 부상할 것으로 봤다. 최근 마곡에 대기업 R&D(연구개발) 센터가 잇따라 입주했고, 2024년 하반기 약 10만 평 이상의 신축 오피스가 준공을 마쳤다. 쿠시먼코리아는 마곡이 향후 주요 업무권역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진단하며 "마곡의 신축 오피스 공급이 강남과 도심권역의 임대료 상승 압박을 완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필립 사진
이필립 기자  kopja93@wisdot.co.kr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